산업 IT

[갤노트7 사태 얼마나 심각했길래]시총 22조 증발하고 갤럭시폰 전반으로 판매중단 조치 추려

전량 자발적 리콜조치 취했지만 미국 당국 개입으로 실행 지연

업계 "CPSC, 노트7이외 갤럭시폰도 판매중단 등 검토"..사실상 무역장벽

설상가상 아동 화상 사건 겹쳐...소비자 기반 흔들릴까 우려

무디스, "신용에 부정적, 리콜비용도 1.5조원 달해"

◇삼성전자 갤노트7 조기 리콜 저해하는 암초들

△미국 정부 노트7 이외 다른 삼성 제품에도 규제 적용 저울질
-다른 갤럭시폰에도 판매중단 조치나 소비자 사용중단 권고 실행 여부 검토
△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의 공식리콜로 편입
-삼성전자 자발적 리콜 계획이 CPSC가 감독하는 공식 리콜로 변환되면서 제품교환 일정 등 지연
△추가 배터리 폭발 논란
-10일 미국 뉴욕서 구형 삼성폰 배터리 폭발이라고 주장되는 어린이 화상 사고 발생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2일 등기이사 등재를 통한 책임경영 행보를 결심한 것은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폭발 파장이 예상보다 한층 심각해지고 있는 탓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일 유례 없는 전량 자발적 리콜조치로 소비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려 했지만 이후에도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폭발 논란이 이어졌다. 여기에 더해 미국 정부마저 사실상 통상장벽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압박을 나날이 가하면서 매출과 기업가치는 물론이고 고객 기반 자체가 흔들릴 정도의 위기가 가시화됐다.


특히 문제는 미국 당국의 칼날이 갤럭시노트7 이외의 제품으로 이동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가 갤럭시노트7 이외에 다른 삼성폰에 대해서도 배터리 안전성 우려를 문제 삼아 규제에 나서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갤럭시노트7뿐 아니라 다른 (삼성전자의) 제품들에 대해서도 판매 중지 조치나 소비자 사용 중단 권고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통상장벽’을 우려했다. 갤럭시노트7뿐 아니라 다른 제품들의 배터리들도 안전성을 증명하라는 게 CPSC의 입장이다.

관련기사



설상가상으로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10일(현지시간) 갤럭시 구형 스마트폰의 폭발사건이라고 피해가족이 주장하는 사고가 났다. 해당 제품은 2년이 지난 제품인데 배터리 폭발로 6세 어린이가 화상을 입었다는 게 피해가족 측 주장이다. 뉴욕포스트 등 일부 현지 매체는 해당 제품이 ‘갤럭시노트7’이라고 보도했지만 업계를 통해 취재한 결과 다른 기종의 구형폰으로 드러났다.

삼성전자는 최대한 조기에 리콜을 단행해 폭발 논란을 마무리 지으려 하지만 이마저도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CPSC가 신품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안전성도 미리 증명하고 나서 소비자들에게 교체해주라고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이르면 이번주부터 미국에서 자발적 리콜을 통해 새 제품으로 교체해주려고 했으나 CPSC가 자신들과의 협의를 통한 공식 리콜을 진행할 것을 요구하면서 제품 교환 일정이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악재들로 사태 수습이 지연되면 그만큼 유상, 무상의 기업 손실은 커진다. 이처럼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 때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조짐을 보여 우리 정부의 중재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제적 신용평가업체 무디스는 12일 보고서를 통해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로 삼성전자가 치러야 할 현금 비용이 1조~1조5,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현재 삼성전자의 신용등급 및 등급전망은 ‘A1’, ‘안정적’이지만 이번 리콜사태가 신용도에는 부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도 자발적 리콜 조치 발표 당일 229조5,043여억원이던 것이 12일 현재 207조5,457조원대로 추락하는 등 기업가치가 22조원 가량 저하됐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