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내진설계 강화 등 특단책 필요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됐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약한 지진이 간헐적으로만 발생해 그저 ‘남의 일’로 치부해왔으나 이제는 아니다. 지난 12일 오후 역대 가장 강한 규모인 5.8의 강진이 전국을 뒤흔들면서 내진설계 강화와 지진대응 시스템 구축, 안전교육 활성화 등 이전과 다른 획기적인 지진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13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민간건축물의 내진율은 30.3%로 일본(8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민간건축물 가운데서도 공동주택은 그나마 42%에 내진설계가 돼 있지만 단독주택은 97%가 무방비 상태여서 건물의 내진 활성화가 급선무로 대두됐다. 공공건축물은 현재 내진율이 40.9%로 오는 2020년 49.4%까지 끌어올린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민간건축물은 ‘비용 증가’를 이유로 정부가 강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내진율 달성 로드맵조차 없다. 30년 동안 건물의 평균 내진율이 30%라는 점을 보면 특별한 대책이 없는 한 앞으로도 상당수 건물이 지진 위험으로부터 방치될 수밖에 없다.

기상청과 안전처에 따르면 이번 ‘경주 지진’은 총 네 번의 지진에 241회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다수의 경상자와 건물균열 등 재산피해가 일어났다. 특히 원전과 공장이 일시 중지되고 경주 인근 문화재의 안전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김영희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강진이 일어나면 한 달 정도는 여진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경주 지진을 계기로 기존과 다른 지진대응과 연구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영일·김민정기자 hanul@sedaily.com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