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진해운사태 당정 “혈세 투입 없다”.선긋기..

임종룡 “대한항공 600억원 들어올지 장담 못해”

조양호 회장 400억원 집행...하역비 1,700억원엔 턱없이 못미쳐

유일호(가운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임종룡(오른쪽) 금융위원장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한진해운 관련 물류대책 당정 간담회에 참석해 앉아있다. /연합뉴스유일호(가운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임종룡(오른쪽) 금융위원장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한진해운 관련 물류대책 당정 간담회에 참석해 앉아있다. /연합뉴스





대한항공이 한진해운에 600억원을 대여해주기로 한 것과 관련해 정부가 실제 지원 가능성이 미지수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내놓기로 한 사재 400억원은 조달이 확정돼 한진해운 계좌에 입금이 완료됐다. 다만 컨테이너 하역비로 예상되는 1,700억원에 턱없이 못미쳐 추가 자구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만 이날 당정은 혈세 투입은 없다는 원칙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수백 조원의 공적 자금을 몰아 넣었는데도 그동안 실패한 사례들을 봐왔다면 이번엔 단호하게 원칙·정도대로 하고 자구책을 마련하도록 모든 책임을 묻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3일 ”(대한항공의 600억원 지원은) 자금이 들어올 지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날 오전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에 대한 2차 당정간담회에 참석해 “(한진해운의) 롱비치터미널을 담보로 대한항공이 600억원을 지원하는 부분은 (대한항공) 이사회가 담보를 먼저 취득하는 조건을 걸었기 때문에 절차를 밟고 있고 상당한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한항공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터미널의 한진해운 보유분 54%를 확보하는 조건으로 600억원을 빌려주기로 했지만 해외 여러 금융기관에 이 지분이 담보로 잡힌데다 46%의 나머지 지분을 소유한 세계 2위 해운사 MSC의 동의도 필요해 실제 대여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조 회장의 사재 400억원에 대해선 “조 회장의 개인 출연금 400억원의 자금이 확정·조달됐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주)한진과 한진칼 주식을 담보로 400억원을 마련했다. 이 자금은 항만 하역비로 긴급 투입될 예정이다.

최은영 전 한진그룹 회장이 밝힌 100억원의 사재 출연 역시 “어제(12일) 약속한 것이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마련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600억원의 지원 시기가 늦춰지거나 아예 불가능해질 수도 있는 가운데 조 회장과 최 전 회장의 사재 500억원만으로는 1,700억원에 이르는 하역비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의 지원이 합쳐져 1,100억원이 마련되더라도 600억원이 부족하다. 한진해운은 컨테이너 하역에 드는 비용을 1,700억원으로 법원에 보고했지만 실제 협상을 진행했을 때 금액이 더 커질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광림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한진해운이) 담보가 있으면 지원하고 담보가 없다면 국민 세금을 들여 지원하는 일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한진해운 협력업체와 중소 화주 등의 피해 방지를 위해 대출보증의 원금 상황을 유예하고 대출 만기를 1년 연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임 위원장은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된 신용보증기금·기술신용보증기금의 재원 8,000억원으로 특례보증을 지원하고 산업은행·기업은행 2,900억원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집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