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시 자동차·에너지로 산업지형 재편..민선6기 9,700억 투자협약

광주의 산업지형이 자동차와 에너지 분야 등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이는 광주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동차·에너지·문화콘텐츠 등 3대 밸리 육성의 성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민선 6기 들어 현재까지 광주시와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기업은 총 114개로 투자협약액은 9,741억원에 달한다. 이에 따른 지역내 신규 일자리 창출은 5,821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실제 투자율은 53.5%를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자동차 분야가 25개사 2,519억원, 에너지분야 41개사 3,340억원, 가전 10개사 1,150억원, 광산업 5개사 175억원, 의료산업 분야 6개사 260억원 등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경쟁력 있는 기업들의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이 가운데 자동차와 에너지 관련 분야가 66개 업체 5,859억원으로 업체 수로는 전체의 57.9%, 투자액으로는 60.2%를 차지하는 등 자동차와 에너지 분야의 투자가 크게 늘었다.


특히 LS산전, 대호전기, 로드링크테크놀러지 등이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는 등 에너지와 정보통신기술(ICT)기업의 투자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또한 특장차 분야에 한국상용트럭과 대덕아이엠티가 지난해 말 대규모 신규 투자를 결정하고 현대자동차 그룹의 데이터센터, 이탈리아의 세계적인 상용차 브랜드 이베코(IVECO)가 한국법인 및 공장 설립을 계획하고 있어 자동차 100만대 생산도시로 가는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가전분야에서도 지난해 대유그룹의 대유위니아가 주방가전 분야의 신규제품 생산과 물류·콜센터의 거점으로 광주를 선택하고 최근 같은 계열사인 대유중공업도 진곡산업단지에 금형공장을 신설하는 등 지역 가전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광주시정의 최우선 가치를 일자리 창출에 두고 청년층의 인력수요가 많은 에너지, ICT 등 기술선도형 기업들을 대상으로 ‘광주에 오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고 싶다”며 “투자를 결정한 기업들이 광주에서 반드시 성공하고 더불어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도록 행정·제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