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시각] 장미란의 동메달

김경훈 디지털미디어부 차장김경훈 디지털미디어부 차장




마지막 3차 시기. 그의 어깨에 걸쳐진 바벨이 무척이나 버겁게 느껴졌다. 170㎏. 예전 같았으면 가뿐하게 들어 올렸을 무게를 있는 힘을 다해 들어 올려봤지만 그는 더 이상 힘이 없었다.


아마도 실패할 것을 알고도 마지막 승부를 했을 대한민국 최고의 역사(力士)는 끝내 바벨을 떨어뜨렸다. 당황한 듯 허공을 응시하던 그는 이내 숨을 가다듬고 관중석을 향해 손을 흔들며 무릎을 꿇고 기도를 올렸다. 그리고는 바벨로 다가가 가벼운 손 키스를 나눴다.

지난 2012년 8월. 장미란의 마지막 올림픽은 그렇게 끝이 났다. 그리고 그때야 비로소 장미란은 170㎏보다 몇 배는 더 무거웠을 부담감도 내려놓았다.

장미란은 펑펑 울었다. 아쉬운 결과를, 국민들에 대한 감사를, 그간의 회한을 가슴에 꾹꾹 눌러 소리 내지 않고 울었다.

처음부터 힘든 싸움이 예상됐다. 런던올림픽을 앞두고 교통사고를 당한 장미란의 몸은 이미 예전 같지 않았다. 왼쪽 어깨, 허리, 무릎, 팔꿈치까지 어디 하나 성한 곳이 없었다.


장미란을 향한 사람들의 기대는 너무 컸다. 모든 이가 금메달을 따주기를 원했기에 그는 아프다는 말을 꺼낼 수 없었다.

관련기사



기적적으로 170㎏에 성공해, 그래서 동메달이라도 땄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너무 컸다. 하지만 역도는 정직한 운동이었다.

‘장미란의 실패’는 엄연한 현실이었다. 하지만 많은 이가 받아들이기 싫었던 것은 마지막까지 바벨과의 싸움에 온몸과 마음을 다해 치열하게 임한 그의 정직함 때문이 아니었을까. 어깨 위로 팔을 들지도 못할 몸으로 국민들의 기대와 성원에 부응하려고 이를 악물었을 그는 결코 기적이나 요행을 바라지 않았을 것이다.

2013년 1월. 장미란은 은퇴를 선언했다. 15년간 정들었던 바벨을 내려놓은 그는 은퇴식에서 참 많은 눈물을 흘렸다.

누구보다 아쉬움이 컸을 그에게 최근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국제역도연맹(IWF)은 7월28일 런던올림픽 도핑 양성 반응자 명단에 여자 역도 최중량급에서 동메달을 딴 흐리프시메 쿠르슈다가 포함됐다고 발표했다. 쿠르슈다의 메달 박탈이 확정되면 장미란은 2004년 아테네에서 은메달, 2008년 베이징에서 금메달, 2012년 런던에서 동메달을 따낸 것이 돼 올림픽 금·은·동을 모두 획득한 선수로 올라선다.

혹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장미란이 국민들에게 준 환희와 감격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그는 2005년부터 4년 연속 세계선수권대회를 제패한 챔피언이고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고 오랫동안 세계 여자 역도를 지배한 여제(女帝)였다.

은퇴 후 장미란재단을 설립해 ‘받은 사랑을 함께 나눠주며’ 살고 있는 그의 앞길에 더 이상의 눈물 없이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기원한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패자의 모습을 보여줘서, 또 땀과 노력의 정직함을 깨닫게 해줘서 진심으로 고맙다. ‘로즈란’ 장미란.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