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대한통운, 택배 분류과정 완전자동화

1,227억 투자 업계 최초로

"배송 2시간 이상 빨라질 것"

CJ대한통운 직원이 자동 분류기기가 설치된 서브 터미널에서 택배 제품이 사람의 손길 없이도 구역 별로 자동 분류돼 이동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사진제공=CJ대한통운CJ대한통운 직원이 자동 분류기기가 설치된 서브 터미널에서 택배 제품이 사람의 손길 없이도 구역 별로 자동 분류돼 이동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사진제공=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총 1,227억원을 투자해 업계 최초로 택배 전 분류 과정을 자동화한다.


CJ대한통운은 전국 200여개 택배 서브터미널에 자동화물분류기를 설치해 업계 최초로 택배 분류 자동화를 완비한다고 22일 밝혔다.

관련기사



CJ대한통운은 오는 10월 수도권에서 운영 중인 100여개 서브터미널을 시작으로 2018년 4월까지 전국 200여개 서브터미널에 분류 자동화기기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연구개발한 ‘휠소터(Wheel Sorter)’를 전국 모든 서브터미널에 설치한다. 휠소터란 컨베이어에 택배 박스를 지정된 구역으로 밀어 지역별로 자동 분류하는 장비다. 이를 통하면 각 서브터미널에서 택배 기사들이 자신의 구역 화물을 분류해 싣는 작업 공정 전반이 자동화된다.

CJ대한통운은 대전 메가허브터미널 1곳과 군포·용인 등 4개의 허브터미널에 이미 자동분류기를 도입했으며, 허브터미널을 거쳐 도착하는 200여 개 서브터미널에도 자동화기기를 도입해 전국 자동화를 완성할 방침이다. 경기도 광주에 짓고 있는 수도권 택배메가허브터미널도 2018년 6월 완공과 동시에 자동화를 도입한다. 2013년 택배 통합부터 자동화 설비투자까지 CJ대한통운이 택배사업에 투자한 금액은 총 1조원에 육박한다.

박근태 CJ대한통운 대표는 “서브터미널 자동화가 되면 배송을 위한 분류 작업 시간이 1시간 정도로 대폭 줄어들고 배송 시간이 2시간 이상 빨라질 수 있다”며 “택배현장 및 고객서비스에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물론 3D 산업으로 인식되던 물류업이 최첨단 스마트 산업으로 변모하는 주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