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우울한 수입車]"달리는 차 화재는 연료호스 누유 탓" 정부발표에 당혹스러운 BMW

국토부 "13개 차종 화재 가능성"

달리던 BMW 차량에서 연이어 화재가 발생한 이유는 연료 호스 사이로 연료가 새어나왔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정부 발표에 당초 연료 호스 결함은 인정했지만 화재와의 연관성을 부인해왔던 BMW코리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BMW를 대표하는 7시리즈 등 대표 차종의 판매가 주춤한 상황에서 자칫 악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5월부터 리콜 중인 BMW 320d 등 13개 차종 1,751대에서 화재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BMW코리아는 엔진룸에서 누유된 연료가 고이는 부분의 온도가 불이 날 수 있는 600도까지 상승하지 않아 화재 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엔진룸 내 다른 부분의 온도가 600도 이상으로 오르고 그쪽으로 연료가 옮겨가 불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조사 결과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BMW코리아의 입장은 다르다. BMW코리아 관계자는 “지금까지 BMW의 화재원인은 연료 호스 누유가 원인이 아니다”며 “지금까지의 화재는 소비자들의 대부분 불법 튜닝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연료호스 문제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연료호스 건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은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단 한 건도 없다”고 했다.

관련기사



국토부 지시에 따라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지난 3월 해당 차종들의 제작결함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주행 중인 BMW에서 잇달아 화재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언론보도가 있고 난 이후다. 조사개시 이후 BMW코리아는 제작공상상 결함으로 연료호스에 균열이 생기면서 연료가 밖으로 흘러나와 주행 중 시동이 꺼질 수 있다며 리콜을 시행했다. 다만 누유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며 부인했다.

업계에서는 올 8월까지 전년 대비 판매량이 10% 가까이 감소한 BMW코리아가 이번 정부 발표로 판매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이렇다 할 신차가 없는데다 경쟁사인 메르세데스 벤츠가 신차를 앞세워 매서운 판매 실적을 올리고 있어 이번 조사 결과는 BMW코리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폭스바겐 사태 이후 수입차 업체와 정부 간의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플래그십 세단 7시리즈가 저조한 판매 실적을 거두면서 BMW코리아는 롯데렌터카와 손잡고 전국 BMW 전시장에서 7시리즈 신차를 장기렌터카로 이용할 수 있는 특단의 조치를 내놨다. 월 210만원을 내면 고객이 원하는 신차를 최소 1년에서 최장 5년까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지난해 10월 국내 출시된 BMW 신형 7시리즈의 올 8월까지 판매량은 1,647대다.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