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인메모리 DB 1위 업체 SAP와 공동 리서치센터 운영

차세대 메모리 개발 추진…초고용량 메모리시대 주도

삼성전자가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DB)·기업용 소프트웨어(SW) 부문 글로벌 1위 기업인 SAP와 차세대 인메모리 플랫폼 연구 개발을 위한 공동 리서치센터를 다음달부터 운영한다. 두 기업간의 전략적 협력으로 초고용량 메모리 시대 삼성전자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SAP는 29일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 부품연구동(DSR)에서 공동 리서치센터 개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영현 사장과 SAP 아시아 태평양 지역 어데어 폭스 마틴 회장 등이 참석했다.


SAP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1위 업체다.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란 중앙 처리장치(CPU)의 정보를 처리하는 주기억장치에 초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해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삼성전자와 SAP는 지난해 메모리 플랫폼 ‘SAP 하나’의 공동 기술 개발에 합의한 바 있다. 이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와 SAP 하나 개발 조직인 SAP 랩 코리아가 협업을 진행했고 리서치센터 설립을 추진했다. 지난 6월 양사는 차세대 초고속·고용량 D램 모듈과 인메모리 기술 개발을 위한 ‘차세대 인메모리 플랫폼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공동 리서치센터 운영을 준비해왔다.

관련기사



삼성전자 부품연구동(DSR)에 설립된 공동 리서치센터는 소형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전용 서버 룸과 양사 연구개발 임직원이 근무하는 사무실로 구성됐다. 글로벌 고객들이 ‘SAP 하나’를 도입하기 전 시험 운용 등 각종 지원을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인메모리 시스템용 초고용량 메모리 개발과 도입을 위한 제반 평가도 진행한다. SAP 하나는 20나노 D램 기반 128GB 3DS(3차원 수직 적층) 모듈을 탑재해 단일 서버로는 최대인 24TB급 인메모리 플랫폼이다. 양사는 향후 10나노급 D램 기반 256GB 3DS 모듈을 탑재해 차세대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향상 시킬 계획이다. 시스템 운영 소비전력도 최소화해 고객들의 IT 투자 효율을 높인 솔루션도 개발한다.

전영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사장은 “10나노급 D램 양산으로 SAP의 차세대 인메모리 시스템에 최적의 솔루션을 적기에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초고용량 메모리 시대’를 지속 주도해나갈 것” 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양사는 차세대 메모리 공동 연구와 사업화 추진을 통해 글로벌 인메모리 솔루션 시장의 혁신을 선도한다는 전략이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