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16일 ‘최근 수출호조업종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1월~9월 수출이 평균 전년대비 6.6% 하락했으나 수출액 1,000만달러 이상 730개 품목 중 175개 품목은 5% 이상의 수출증가세를 기록했다.
이들 품목을 유형별로 묶어보니 K-뷰티, K-푸드, K-전자 3가지로 요약됐다. 눈화장품(36.9%), 립스틱(30.9%), 비누(61.2%), 샴푸(74.1%), 언더셔츠(7.2%), 스웨터(6.5%) 등 K-뷰티제품군의 수출은 평균 53.0% 증가했다.
또 쇠고기(36.4%), 분유(38.0%), 맥주(14.9%), 우유(13.3%), 김(15.7%), 빙과류(8.2%), 담배(35.2%) 등 K-푸드제품군은 24.2% 늘었다.
‘K-전자’로 묶을 수 있는 무선통신기기부품(28.8%),반도체장비(17.5%), 소프트웨어(10.5%), TV카메라(64.5%), 전기밥솥(9.7%) 등의 수출도 24.1% 뛰었다.
보고서는 “3가지 제품군은 산업특성에 맞게 독특한 방식으로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한 제품들”이라며 “교역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전체 교역량이 줄어들고 있는 지금 그들의 성공비결을 눈여겨봐야 할 때”라고 소개했다.
대한상의는 “K-뷰티의 성공비결을 한단어로 정리하라면, ‘창조적 차별화’를 꼽을 수 있다”며 “쿠션, BB크림, 마스크팩, 한방샴푸 등 다양한 제품들을 창조적으로 만들어 내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했다”고 분석했다.
예컨대 아모레퍼시픽이 선보인 ‘쿠션’은 세계인의 화장문화를 바꿔 놓았다.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 등 기초화장품을 특수 스펀지에 한데 모아 툭툭 찍어 바르는 것으로 화장을 마무리하는 쿠션이 아시아 시장에서 대성공했다.
또한 한국 화장품 회사들은 미국이나 유럽이 이미 시장을 장악한 색조화장품 대신 기초화장품에 집중해 BB크림, 프리미엄 마스크팩, 한방재료를 사용한 화장품·샴푸 등을 히트시켰다.
K푸드는 ‘철저한 현지화로 신뢰구축’ 전략이 주효했다. 국내산 우유와 분유가 대표적 사례로 2008년 중국의 멜라닌 분유 파동후 신뢰도 높은 유제품으로 자리잡았다. 다소 비싸지만 믿고 먹을 수 있다는 입소문이 나며 지난 3년간 수출액이 190% 증가했다.
조성훈 연세대 교수는 “중국의 한자녀 정책 폐지로 단기적으로 유아·어린이, 중장기적으로는 청소년·학생 대상 산업이 빛을 발할 것”이라며 “영유아 용품부터 어린이 교육시스템 등에서 경쟁력을 갖춘다면 관련 수출이 크게 늘 수 있다”고 전망했다.
K-전자제품군은 중소기업 성공전략으로 종종 언급되는 ‘다각화보다는 전문화’전략이 통했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제거용 ‘플라즈마 클리너’ 생산에 20여년간 집중해 온 기업의 한 관계자는 “전체 임직원의 30%를 R&D 인력으로 채우며 품질제일주의를 표방해 지금은 세계 120여개 기업에까지 수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최근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가 중국, 미국에 해외공장을 설립했는데, 국내 반도체가 약진하면서 제조용장비 수출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기밥솥의 선전도 돋보인다. 압력밥솥에 전자레인지식 가열방식을 접목시켜 밥맛을 인정받았는가 하면, 밥솥하나로 죽, 탕, 찜까지 조리가 가능하도록 해 중국, 동남아 고객의 입맛을 사로 잡았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수출절벽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수출이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두자릿수 성장을 지속하는 업체들도 꽤 많다”며 “이들 기업에 대한 성공포인트를 면밀히 분석하면 새로운 수출동력을 찾는데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