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헝가리 난민할당 국민투표 무효

투표율 50% 못넘어 성립 안돼

개표 결과 98.33% "난민 반대"

유럽연합(EU)의 난민할당제 거부 문제를 놓고 치른 헝가리 국민투표가 성립요건 미달로 무효화됐다. EU로서는 한숨을 돌리게 됐지만 투표자 대부분이 난민할당제에 반대한 것으로 나타나 난민을 둘러싼 EU와 회원국 간 갈등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3일(현지시간) 헝가리 선거관리위원회는 전날 시행된 국민투표의 공식 투표율을 43.91%로 발표했다. 헝가리는 국민투표 성립요건을 투표율 50% 이상으로 규정해 개표 결과와 상관없이 이번 투표는 효력을 갖지 못하게 됐다. 다만 개표 결과(개표율 99.98% 기준) 98.33%가 난민할당제 반대에 투표한 것으로 집계됐다.


헝가리의 이번 국민투표는 EU가 할당한 난민쿼터를 의회 동의 없이 받아들일지 결정하는 것이다. 국민투표를 발의한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총리는 난민할당제에 앞장서 반대하며 지금까지 할당된 난민 1,294명 중 단 한 명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이번 국민투표가 무효로 돌아가면서 난민포용 정책을 펴고 있는 EU와 독일이 한숨을 돌렸다고 분석했다. 헝가리 정치전문가 라즐로 로위는 “다수의 유권자가 반대 의사를 밝혀 상황이 애매해졌지만 오르반 총리가 패했다고 봐야 한다”며 “EU는 국민투표가 무효가 됐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야당인 함께(together)당의 시게트바리 빅토르 당수도 “헝가리인 대다수가 투표소를 멀리했다”며 정권교체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반면 오르반 총리는 높은 반대 득표율을 근거로 이번 선거 결과를 난민 반대 측의 ‘승리’로 선언해 갈등이 일단락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반대에 투표한 사람들은) 우리가 원하지 않는 사람들을 헝가리에 들여놓아서는 안 된다는 의사를 확실히 한 것”이라며 “우리가 가장 처음 (난민반대) 국민투표를 했다는 점을 자랑스러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헝가리 외에 체코·폴란드 등이 난민수용제에 반대하고 있어 각국에서 국민투표가 잇따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