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10년간 전력사용 40% 껑충...산업용 증가율 가정용의 2배

주택용 인구감소·누진제로 정체

단가 낮은 농업용 2배 이상 늘어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전력사용량이 4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용 전력사용은 2013년 이후 정체된 데 비해 산업용은 급격히 늘어 가정용의 두 배가 넘는 증가율을 기록했다.

9일 한국전력이 집계한 ‘10년간 국가 전력사용량 변화’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전력사용량은 2006년 34만8,917GWh에서 48만3,655GWh로 38.7% 늘었다.

용도별로 보면 등유 등 다른 에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농업용 전력사용량이 2006년 7,636GWh에서 2016년 1만5,702GWh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산업용은 18만3,067GWh에서 27만3,548GWh로, 일반용은 7만7,809GWh에서 10만3,679GWh로 각각 49.4%, 33.2% 늘었다. 주택용은 5만3,912GWh에서 6만5,619GWh로 21.7% 느는 데 그쳤다.


10년간 꾸준히 늘어난 농업용이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9년을 제외하면 증가세를 유지한 산업용과 달리 주택용은 2013년 이후 비슷한 사용량이 유지되고 있다. 주택용 전력사용량은 2013년 6만5,815GWh로 10년 내 가장 많은 사용량을 보였다가 2014년 6만4,457GWh, 2015년 6만5,619GWh로 주춤거렸다.

관련기사



이를 놓고 주택용에는 누진제 요금이 적용되기 때문인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한전 관계자는 그러나 “주요 가전제품의 보급이 늘고 1∼2인 가구 증가 등 가구구성원이 변화하면서 1인당 전력사용량은 증가 추세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체 전력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산업용이 56.6%로 가장 많았다. 2006년(52.5%)과 비교하면 4.1%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농사용은 2.2%에서 3.2%로 증가했다. 반면 일반용은 22.3%에서 21.4%, 주택용은 15.5%에서 13.6%로 줄었다.

심야 전력은 2010년 이후 감소세를 나타냈다. 2006년 1만8,818GWh에서 2010년 1만9,690GWh까지 늘었던 심야 전력은 2011년 1만8,607GWh로 떨어진 뒤 2015년 1만4,75GWh까지 줄었다. 한전 측은 “심야 난방 수요가 크게 늘면서 심야 전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요금 정책이 선회했기 때문”이라며 “높은 수준의 요금 인상과 신규 계약 대상 제한, 신규 계약자의 가구당 계약전력 제한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