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주담대 고정금리 비중 높아 기준금리 인하 효과 미미"

금융硏 "소비활성화로 연결 안돼"

은행 주택담보대출에서 고정금리 비중이 확대되면서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소비 활성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변동금리를 선택하면 기준금리 인하시 이자 부담 경감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고정금리의 경우 기준금리 인하와 무관하기 때문이다.


김석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9일 ‘이질적 경제주체를 고려한 통화정책의 유효성 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정책 당국이 이자율을 낮추면 가계의 부담이 절감돼 소비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지만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높아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상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담보대출에서 고정금리를 선택하면 기준금리 인하에도 금리 인하 효과를 볼 수 없다.

관련기사



실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에서 고정금리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가 과거 가계부채 관리 방안의 하나로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이도록 유도한 결과다. 2010년 말에는 0.5%에 불과했지만 2012년 말 14.2%로 올라갔고 올해 3월 말에는 36.8%를 기록했다. 금융 당국은 올해 고정금리 대출 비중의 목표치를 40%로 설정했다.

김 연구위원은 “고정금리 대출자들도 이자율이 하락할 때 그 혜택을 충분히 볼 수 있도록 중도상환 수수료 부담을 줄이는 정책을 시행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수수료율 인하나 수수료 부과기간의 축소가 저금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지 3년 이내에 금리 방식 등을 바꾸면 중도상환수수료를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주원기자joowonmail@sedaily.com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