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자율주행차, 살상 무기 우려 증폭…"해커장악 및 기기오류 우려"

SF 크로니클 "해킹 취약, 폭발물 탑재도 쉬워"

"완벽한 사이버 안전장치 마련 위한 심각한 고민 선행돼야"

자율주행차의 도입이 우리 삶의 방식을 바꾸고 교통사고와 관련한 수만 명의 목숨을 살릴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지금의 분위기가 ‘아름다운 장밋빛 미래’에만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의 유력지 SF 크로니클은 “해커가 장악한 자율주행차는 갑자기 속도를 내고, 고속도로에서 급작스러운 회전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GPS 장치를 조금만 변경하거나 오류를 일으키게 해도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커, 많은 승객이 숨지거나 다치고 도로가 마비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외로운 늑대’, 즉 자생적 테러리스트가 차량에 폭발물을 탑재해 목표로 삼은 건물이나 공공장소로 주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해 놓는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상상해 보라”고도 했다. 만일 적대적 국가나 테러단체가 고용한 해커가 자율주행차의 컴퓨터망에 침투한다면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 특히 전 세계가 테러의 공포에서 자유롭지 못한 현 상황에선 더욱 그렇다.

관련기사



또 신문은 “자동차 업계와 연방 규제 당국은 스스로 주행하고 차량끼리 대화가 가능하고, 교통신호 등 기반 시설과 소통하는 자율주행차가 인간을 얼마나 편하게 하고 사고를 줄일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데만 혈안이 돼 있다”면서 “그러나 그 신경망을 해킹한다면 정말 위험한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신문은 미국 교통부가 지난달 20일 자율주행차의 안전을 강화하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발표한 15개 항목의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해당 항목들은 자발적으로 시행하라는 권고조항일 뿐 의무조항이 아니며, 가이드라인들 역시 구체적인 사이버 보안의 수준에 대해서는 적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요점이었다.

한편 미국 민간싱크탱크인 랜드 연구소의 니디 칼라 국장 역시 “자율주행차가 주는 수혜보다 그 위험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면서 “사이버 안보가 뒷받침되는 자율주행차를 디자인하는 문제는 사후 대처할 문제가 아니라 현 단계에서 심각하게 재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