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대선주자 인터뷰]박원순 "경쟁력 없는 사람이 본선 나가 정권교체 못하면 당 해체해야"

대권 주자간 연합·단일화 등

정파적 논의 참여할 생각 없어

대한민국 대공황 직전 상황

99대1 불평등 사회 바꿔야

핵무장론은 자살행위

박원순 서울시장./이호재기자박원순 서울시장./이호재기자






“(대통령선거) 본선에 경쟁력 있는 사람이 나가야죠. 그게 지금 당으로서도 해야 할 일이 아닌가요. 상상해보십시오. 정권교체·시대교체·미래교체를 바라는 국민의 열망이 이렇게 있는데 본선 경쟁력이 없는 사람이 나가서 정권교체를 못하면 그 당이 존립할 수 있나요. 그런 당은 해체해야죠.”

더불어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 중 한 명인 박원순 서울시장은 13일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다른 무엇보다 당의 대선후보를 뽑는 기준은 대선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예선(당내 경선)’보다는 ‘본선(대선)’에서의 경쟁력을 강조한 것이다. ‘문재인 대세론’을 차단하는 동시에 박 시장 본인이 문재인 전 대표에 비해 본선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될 확률이 높다는 자신감의 표현으로도 볼 수 있다.

당에서 각 대선주자에게 후보 경선 방식을 논의하기 위한 인물을 추천해달라고 하며 경선 방식 논의에 들어갔지만 박 시장은 “여의도 문법에 저는 관심도 없고 국민도 관심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국민이 관심이 있는 것은 도탄에 빠진 나라를 정상의 나라로, B급의 나라를 제대로 된 국가로 만들어달라는 절체절명의 요구”라며 “이 과제 앞에 무슨 룰이 중요하냐”고 밝혔다.


대선주자 간 연합, 야권 후보 단일화 등에 대해서는 “이 시대의 과제, 국민의 절박함, 이런 관점이 아니고 어떤 정파적이고 당파적인 그런 관점에서 보는 논의나 생각에는 같이 참여할 생각이 없다”고 잘라 말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그는 지금의 대한민국을 “대공황 직전의 상황”으로 표현하며 이대로 가면 “일본의 마이너스 성장까지 가는 것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높다. 루스벨트의 뉴딜정책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그런 것들을 다 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성장론과 관련해 “저성장 시대가 노멀(normal)이 된 이런 시대에 여러 정치가 필요하다. 99대1의 사회를 바꿔야 한다”며 불평등 해소를 강조했다. “이 체제를 가지고는 경제성장은커녕 성장의 동력을 갉아먹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사람이 중심인데 사람이 창조하고 혁신하고 새로운 경제를 이끌어갈 동력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스티글리츠가 그의 책 ‘Rewriting the rules of American Economy’에서 말한 대로 소득 불평등, 교육 기회의 불평등, 건강의 불평등 때문에 경제활력, 자본주의의 지속 가능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이것을 본궤도로 올리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노동존중도시 서울 정책, 택시 정책, 복지 정책, 서울형 창조경제 등 서울시의 성공 사례를 내세우기도 했다. 그는 “이를 종합하면 모두를 위한 경제, ‘위(we)코노믹스’라고 할 수 있다”며 “이런 것을 전국적·국가적 과제로 채택하면 우리가 성장의 주춧돌을 놓으면서 저성장 체제 속에서도 국민이 행복한 삶의 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경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여당은 안보와 경제에는 능하다고 얘기하는데 지난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거치면서 안보와 경제에 정말로 무능한 정권이라는 게 판명 났다”며 정부의 대북 정책도 강하게 비판했다. 또 자체 핵무장론에 대해 “자살행위나 다름없다. 한반도에서 핵 경쟁은 민족의 자멸을 가져오는 행위”라며 “북한이 더 이상 핵 개발을 못하게 하고 완전히 핵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외교고 안보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이호재기자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