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래부, 박영아 KISTEP 원장 불승인

靑 외압 논란...학계 반발 커져

박영아 KISTEP 원장/서울경제DB박영아 KISTEP 원장/서울경제DB


미래창조과학부가 박영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차기 원장의 선임을 불승인했다. 과학기술계 기관장이 사퇴하는 일이 반복된 가운데 정부와 과학계 간 갈등이 깊어질 전망이다.

정치권과 미래부, KISTEP 등에 따르면 20일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KISTEP 이사회에서 추천한 박 차기 원장에 불승인 결정을 통보했다. 9월 28일 KISTEP은 이사회를 열고 박 현 원장을 차기 원장으로 선임했으나 미래부에서 20 여일 넘게 차일피일 승인을 미뤄왔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원했던 인사가 차기 원장이 되지 못하면서 미래부가 승인을 미루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경진 국민의당 의원은 “불승인 결정은 청와대에서 차기 원장으로 내정한 이인선 전 대구 수성구을 새누리당 국회의원 후보가 원장으로 결정되지 못한 데 따른 보복 성격이 강하다”며 “과학기술계 기관장 선임에 청와대 간섭이 지나치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과학기술계에 대한 정부·청와대의 외압설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출신의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 기초과학연구원장을 역임한 오세정 국민의당 의원 등 과학기술계 인사들이 대거 야당으로 이동하면서 정부·청와대의 인사 개입이 심해졌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로 임기가 1년 남은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이 지난 9월 돌연 사퇴했고 정민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도 중도 사퇴했다. 지난 7월에는 미래부 산하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원장 선임 공모에서 김선옥 후보가 1순위 후보로 선정됐지만 호남 출신이라는 이유로 정부에서 반려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신 의원이 4·13총선에서 국민의당 비례대표로 공천받으면서 공석이 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자리는 거듭 추천위가 올린 후보자들을 반려한 끝에 권동일 원장이 선임됐으나 지난 19일 백지신탁 문제로 4개월 만에 물러났다.

미래부가 연구개발(R&D) 담당자가 자주 교체하는 점도 논란이다. 정부의 R&D를 총괄하는 미래부의 과학기술전략본부장은 4개월 만에 교체됐고 지식재산정책관은 1년동안 4번이나 바뀌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