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윤병세 "2007년 유엔 北인권결의 적극 찬성했다"

윤병세 "당시 기권 결정 관련 추후 설명할 기회 있을 것"

"美전략자산 상시 순환배치 관련 후속협의 있을 것"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외교·국방장관 회의 참석을 마치고 21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 방미 성과와 2007년 북한 인권결의 관련 회의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외교·국방장관 회의 참석을 마치고 21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 방미 성과와 2007년 북한 인권결의 관련 회의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1일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 표결 논란’과 관련해 “(당시 청와대 수석비서관 신분으로) 적극 찬성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그러면서 기권 결정 배경에 대해 “추후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여운을 남겼다.


윤 장관은 이날 한미 외교·국방장관 2+2 연석회의를 마치고 귀국한 뒤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외교부는 앞서 당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이었던 윤 장관이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 관련 정부 내 회의에서 11월 15일, 16일, 18일 등 3차례 참석했고 모두 결의안에 찬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힌 바 있다.


윤 장관은 또 한미 안보협의회(SCM) 결과물을 두고 두 나라 간 해석이 엇갈린 데 대해 “앞으로 운영방식에 대해 빠른 시일 안에 후속협의가 있을 것”이라며 “국방 당국에서 이런 문제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지난 20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SCM 직후 우리 측은 한반도에 미국 전략자산을 상시 순환배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결과물에 이를 명문화하지 않았다.

그는 이어 “이번 (SCM의) 성과 중 하나는 양국 간 전략 및 정책적 차원에서 고위급 전략협의체를 신설한 것”이라고 말했다. ‘전략자산 순환 배치 문제에 대해 한미 간 이견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제가 말씀드린 것이 상황을 정확히 반영한 것”이라고 답했다.

윤 장관은 이번 회의 분위기에 대해 “특히 (미국) 대선이 얼마 안 남았기 때문에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 양 진영의 여러 사람을 만나고 학계와 오피니언 리더를 만나 이야기했다”고 소개하며 “미국 새 정부하에서 한미동맹에 대한 입장은 변함없이 강력할 것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했고 한국에 대한 방위도 강력히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 점에서 워싱턴의 분위기는 아주 좋다”고 덧붙였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