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민 누구나 예술가로…'생활문화시대' 연다

2020년까지 총 267억 원 투입

서울문화재단 내 전담조직 ‘생활문화지원단’ 내년 신설

2020년까지 총 90개 생활문화지원센터 개소 예정

서울시가 서울 시민 누구나 예술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생활문화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생활체육처럼 문화활동 역시 일상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총 267억원을 투입, 지역 곳곳에 총 90개의 생활문화지원센터를 개소해 예술 활동 지원에 나선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생활문화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24일 발표했다. 이는 시가 지난 6월 발표한 문화 분야 중장기 계획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 중 생활문화 분야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이다.


우선 생활문화 인프라 90개소가 서울 전역에 차례로 개방된다. 종로 체부동 교회에서는 오케스트라, 예술청(옛 대학로 서울연극센터)에서는 연극, 도봉구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공간에서는 공예 등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등 각 센터별로 특화 분야를 정해 운영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를 전담하는 조직인 ‘생활문화지원단’도 내년 서울문화재단 내 신설된다. 각 개인별로 원하는 예술 동아리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놔 주고 지원해 주는 역할을 한다. 시는 이를 위해 ‘문화 예술 매개자’라는 신규 일자리도 신설해 한 해 400명씩 육성, 각 문화시설에 파견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가 ‘생활문화시대’를 강조하고 나선데 에는 문화 생활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수요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문화재단이 문화예술향유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49%가 문화 동호회 참여 의사를 피력했다. 그러나 비용 지출에 대한 걱정, 시간 부족에 대한 고민 등이 많아 문화생활에 현실적인 어려움도 뒤따랐다. 시는 이 같은 실질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힘을 보태 생활 문화를 적극 장려하겠다는 구상이다.

고홍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시민이 문화 소비자이자 곧 창조자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시민이 자발적으로 나서고 공공부문은 뒤에서 적극 지원하는 방법으로 시민들이 집·직장과 가까운 곳에서 비용 부담 없이 예술활동을 즐기며 생활 예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끔 돕겠다”고 말했다.

생활문화인프라 조성도. /사진제공=서울시생활문화인프라 조성도. /사진제공=서울시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