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2016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홍현: 북촌마을 안내소 및 편의시설

정독도서관 접근성 개선…주변경관과 조화 이뤄

북촌마을안내소 및 편의시설의 전경. 북촌마을안내소는 주변 정독도서관, 서울교육박물관의 접근성을 개선하면서도 주변 경관과 잘어울리는 모습으로 공공성을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북촌마을안내소 및 편의시설의 전경. 북촌마을안내소는 주변 정독도서관, 서울교육박물관의 접근성을 개선하면서도 주변 경관과 잘어울리는 모습으로 공공성을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건축개요-서울 종로(홍현)건축개요-서울 종로(홍현)


서울시 북촌 정독도서관 부지에 자리잡고 있는 ‘홍현; 북촌마을 안내소 및 편의시설’(이하 홍현)은 관광 명소로 잘 알려진 북촌에 어울리는 건축물로 이 일대에 생동감을 불어넣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홍현은 정독도서관과 북촌마을 간의 접근성을 개선하기를 원했던 서울시교육청과 주민지원시설 및 관광기본인프라 확충을 원했던 종로구청 간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졌다. 북촌마을의 중심부인 화동길에 위치한 정독도서관 부지는 인접한 부지보다 높은데다 기존에는 자동차용 도로와 인도가 함께 있는 길로만 외부와 연결되는 폐쇄적인 구조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로구청은 화동길과 정독도서관 부지의 경계부에 있던 약 35m 길이의 콘크리트 옹벽을 허물고 홍현을 세웠다.

관련기사



연면적 150㎡ 부지에 들어서 있는 홍현은 지하 1층에는 북촌마을안내소와 북촌전시실이, 지상 1층에는 화장실이 각각 있다. 3개의 건물로 나눠 그 사이로 나 있는 2개의 길은 정독도서관으로 통한다. 이를 통해 정독도서관으로의 접근성이 한층 개선됐다. 중심부에 위치한 마당은 주민들과 관광객들을 위한 쉼터로서의 역할을 하게 돼 공공성도 개선됐다.

홍현은 서울교육박물관의 재료와 유사한 적벽돌을 주재료로 사용하면서도 단순하지 않은 다양한 패턴을 통해 주변과 조화를 이뤄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홍현(紅峴)이라는 이름은 정독도서관 남쪽에 있던 고개의 붉은색을 띈 흙에서 유래됐다. 종로구청은 터 파기 공사에서 붉은색 계열의 흙을 확인하고 이곳에 옛 지명인 홍현으로 표기한 표지석을 세웠다. /특별취재팀 junpark@sedaily.com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