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일출봉함’ 진수, 한 척 추가 건조…‘상륙함 8척 운용’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25일 열린 신형 상륙함(LST-II) 3번함 ‘일출봉함’의 진수식을 축하하는 축포가 발사되고 있다. 일출봉함은 1년1개월의 인수시험평가를 거쳐 해군에 인도되며 전력화 과정을 마친 후 2018년 2월경 작전배치될 예정이다.울산 현대중공업에서 25일 열린 신형 상륙함(LST-II) 3번함 ‘일출봉함’의 진수식을 축하하는 축포가 발사되고 있다. 일출봉함은 1년1개월의 인수시험평가를 거쳐 해군에 인도되며 전력화 과정을 마친 후 2018년 2월경 작전배치될 예정이다.




상륙작전 수행능력이 크게 좋아진 신형 상륙함 일출봉함(배수량 4,900t)이 25일 진수됐다.


해군은 이날 오전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신형 상륙함(LST-Ⅱ) 3번함 일출봉함의 진수식을 갖고 인수시험평가 뒤 내년 11월 인도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군은 인수봉함을 전력화 과정을 거쳐 2018년 2월 작전 배치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일출봉함은 길이 127m, 최대 속력 23노트(약 40km/h)로 승조원은 120여 명이다. 완전 무장한 상륙군 300여 명과 고속상륙주정(LCM),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등을 탑재한다. 상륙기동헬기 2대의 이·착함도 가능하다.

기존 2,600t급 고준봉급 상륙함(LST-Ⅰ)보다 빠르고 상륙작전지휘소를 갖춰 초수평선 상륙작전도 수행할 수 있다. 초수평선 상륙작전은 상륙함이 적의 레이더 탐지거리(약 24㎞) 밖에 머물면서 LCM이나 기동헬기를 지휘해 수행하는 작전이다. 또 방탄설계 적용구역 및 방화격벽이 설치돼 생존성도 향상됐다. 특히 일출봉함은 수직발사대에 국산 해궁 함대공 미사일 수십발을 장착해 적 항공기나 대함미사일에 대한 요격도 가능하다.

신형 상륙함 1번함인 천왕봉함은 2013년 9월에 진수돼 작년 5월에 작전 배치됐고, 2번함인 천자봉함은 작년 12월 진수돼 현재 전력화 과정을 밟고 있다. 해군은 신형상륙함을 한 척 추가 건조해 건조해 모두 8척의 상륙함 전력((LST-Ⅰ 4척, LST-Ⅱ 4척)을 운용할 계획이다.

일출봉함은 평시에는 기지와 도서에 대한 병력, 장비 및 물자 수송을 담당하고 국지분쟁 시에는 신속대응 전력을 수송한다. 해군은 국내 명산의 봉우리를 상륙함의 함명으로 사용해 오고 있다. 해군은 “6·25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과 도솔산전투 등에서 큰 활약을 펼친 제주도 출신 해병대원들의 용맹을 기려 함명을 일출봉으로 제정했다”고 밝혔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