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까지 장기 집권 토대를 닦아 놓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나려는 아시아 정상들의 방일이 이어지고 있다. ‘방일 러시’라고 불릴 정도로 예년에 비해 정상회담이 급증한 데는 일본 안팎의 정세가 원인으로 꼽힌다.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9월부터 연말까지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기로 약속한 나라는 러시아·인도·말레이시아·미얀마 등 총 15개 국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개국, 2014년의 6개국에 비춰볼 때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도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으며 다음 달 초에는 미얀마의 최고 지도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 겸 외무장관과 마주한다.
이처럼 각국 정상들의 방일 러시는 3연임이 확실시 되는 아베 총리와 돈독한 관계를 맺고 대규모 경제협력 등을 이끌어 내려는 전략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외무성의 한 간부는 “아베 내각은 최근 일본에서 매우 드물게 장기간 집권하는 정권”이라며 “국제사회에 미치는 존재감이 (릴레이 정상회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전 민주당(현 민진당) 소속의 하토야마 유키오·간 나오토·노다 요시히코 전 총리가 각각 1년 전후로 단명한 총리였다는 점에서 취임 4년이 지난 지금도 탄탄한 지지율을 지키고 있는 아베 총리가 더욱 돋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군사 대국의 면모를 보이는 중국을 경계해야 하는 일본 정부의 복심도 원인 중 하나다. 몽골·카자흐스탄·필리핀 등 연말부터 내년 초까지 이어지는 정상회담 참가국들은 대부분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거나 영토분쟁으로 중국과 긴장감을 유지하고 있는 곳들이다.
일각에서는 대규모 돈풀기를 통한 ‘아베노믹스’가 엔고 기조에 힘을 잃게 되자, 아베 정권이 단기간에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는 외교에 주력해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