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철저히 계산된 '막말'...두테르테 실리외교 거들다

中 방문서 美에 "결별" 폭탄선언

일본과 정상회담선 "中 견제" 언급

연내 러 방문 위해 푸틴 찬양까지

필리핀, 강대국 사이 줄타기하며

군사·경제적 이득 확실히 챙겨

세계 최강국이자 70년 우방인 미국에 ‘결별’을 선언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앞에서는 껌을 씹었다. 미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 중 누구를 더 좋아하느냐는 질문에 “그보다 내가 좋아하는 영웅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라고 받아쳤다. 자유분방함과 ‘막말’을 오가는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의 외교는 아슬아슬하다.

하지만 언뜻 국제사회의 골칫덩이로 보이는 그가 취임 이후 지난 4개월간 외교무대에서 거둔 성과를 되짚어보면 평가는 사뭇 달라진다. 거침없는 태도로 미국·중국·일본 등 강대국들의 애간장을 녹이면서도 확실하게 군사·경제적 이득을 얻는 실리외교를 펴는 그를 놓고 일각에서는 막말조차 고도로 계산된 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26일 두테르테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어 “인프라 정비, 해양안보 등 필리핀 발전을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두테르테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일본이 필리핀에 풀 선물 보따리에는 중국과의 분쟁이 한창인 남중국해 연안 경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형 순시선 2척과 해상자위대 연습기 TC-90 등의 대여를 정식 결정하는 방안 등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두테르테 대통령으로서는 아시아에서 미국의 대리인 격인 일본으로부터 끌어낼 수 있는 군사적 지원을 최대한 얻어낸 셈이다.


그는 이날 열린 일본 필리핀 우호의원연맹 회담에서 “우리는 중국에 대해 같은 입장에 있으니 손을 맞춰야 한다”며 중국 견제를 위한 양국 협력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두테르테 대통령은 불과 일주일 전인 20일 시 주석과 만나 “지금은 (이 문제를) 얘기할 수 있는 적합한 때가 아니다”라며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언급을 의도적으로 피했다. 대신 중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적극 드러내며 중국과 135억달러 규모의 투자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분쟁지역인 스카보러 암초(중국명 황옌다오)에서 필리핀 어선 조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연내 러시아 방문 의사를 밝히며 대러 관계 진전도 노리고 있다. 그는 20일 중국 베이징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나면 “이 세상과 맞서 싸울 수 있는 사람은 나와 푸틴 대통령, 시진핑 주석 세 명밖에 없다고 말하겠다”며 방문 기대감을 높였다. 이에 대해 이고리 호바예프 주필리핀 러시아대사는 필리핀 GMA방송에 출연해 “필리핀이 러시아에 기대하는 어떤 지원도 마주앉아 논의할 것”이라며 두테르테 대통령의 러브콜에 즉각 화답했다.

친미를 고수했던 과거 정권과 달리 철저하게 실리를 챙기는 두테르테 대통령의 외교 스타일에 미국은 긴장하고 있다. 남중국해 분쟁 당사국이자 미군 주둔국가인 필리핀을 기반으로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외교전략이 삐걱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미 외교가에서는 두테르테 대통령의 의도가 외교전략의 장기 변화를 의미하는지, 강대국 간의 긴장을 고조시켜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시도인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미 외교전문지 디플로맷은 “미국이 제대로 된 패를 내놓는다면 두테르테 대통령도 자신의 작전이 무엇인지 내보일 것”이라며 “상황이 해결되면 미 정부는 이번 일을 교훈 삼아 필리핀이 다시는 이런 전략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