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서민 가계, 소득정체 속 밥상물가는 오르고

밥상물가가 치솟고 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올해 2월(1.3%)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신선 채소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급등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들이 자주 사는 채소·과일·생선 등의 물가를 나타내는 신선식품지수는 무려 15.4%나 급등했다. 계속된 경기침체로 가뜩이나 벌이가 신통치 않은 서민 가계에 밥상물가마저 올라 이중고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물가가 1%대의 상승세를 보였다고 물가불안을 우려하며 호들갑 떨 일은 아니다. 지금은 물가가 올라서 걱정이 아니라 오르지 않아서 걱정인 시대다. 더구나 지금의 상승세는 한국은행이 4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반기 1.0%, 하반기 1.4%로 연평균 1.2%를 전망한 범위 안에 있다.

관련기사



문제는 이런 저물가가 서민들의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치솟는 농축수산물 가격을 보면 장보기가 무섭다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143.6%), 무(139.7%) 등 김장 채소 가격이 전년보다 2배 넘게 뛰었다. 워낙 가격이 치솟다 보니 김장을 포기하겠다는 가정이 속출할 정도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소주에 이어 맥주·콜라 가격이 인상됐고 라면 값 인상설마저 나돈다. 다음달에는 도시가스 가격 인상도 예정돼 있다.

당연히 체감물가와 지수물가 사이의 괴리가 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가 아무리 물가가 안정적이라고 강조해도 신뢰를 얻지 못하는 이유다. 지금과 같은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세는 공산품 가격 등 각종 물가를 들먹이게 할 수 있다. 그러면 경기침체로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 생활이 더욱 힘들어지고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농축수산물 수급 안정과 함께 가격 인상 요인이 있더라도 인상폭을 최소화하거나 인상시기를 분산시키는 당국의 노력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