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WSJ "美 대통령 누가 되든 중국과 관계 악화"

패권경쟁 상황서 임기 시작

對中 외교정책 강경 예고

5일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에서 누가 대통령이 되든 미국의 대중국 외교정책이 더 강경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 중 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더라도 중국에 대한 차기 미 정부의 태도는 단호해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WSJ는 “차기 미국 대통령은 미국의 국력이 약해지고 중국의 국력이 강해지면서 전략적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임기를 시작한다”며 “정치적 스펙트럼과 상관없이 중국을 압박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문은 또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임기 내내 중국의 사이버공격과 지적재산권 침해, 대중 무역적자 등의 이슈를 해결하는 데 무기력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만큼 차기 대통령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라도 대중 강경 기조를 보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실제로 두 후보는 그동안 선거 유세에서 통상 문제를 중심으로 중국에 변화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클린턴은 지난 7월 민주당 대선후보 수락연설에서 “불공정 무역협정에 단호히 ‘노(No)’라고 말해야 한다고 믿는다면 우리는 중국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경선 레이스 내내 중국이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며 미국이 무역에서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중국을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여기에 아시아 지역에서 영유권 분쟁을 둘러싼 중국의 공세가 날로 심화해 차기 대통령이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을 군사적으로 압박하는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다고 WSJ는 전망했다.

중국은 7월 상설중재재판소(PCA)가 남중국해 인공섬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는 판결을 내리자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서도 미국의 최대 동맹국인 일본과 갈등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