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최순실 게이트] "안종범, 전화 돌렸는지 비서관이 전혀 알 수 있는 위치가 아니다"

安과 일했던 경제관료들 해명

행정관들은 주말도 없이 일해

최씨는 물론 재단도 알지못해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본격 소환됨에 따라 경제부처들도 술렁이고 있다. 특히 안 전 수석이 경제수석을 맡을 당시 청와대에 파견근무했던 경제관료들은 좌불안석이다. 일각에서는 경제수석 산하 1급 비서관으로 있었던 인사 중 일부는 검찰의 안 전 수석에 대한 수사 상황에 따라 앞으로 수사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안 전 수석은 지난 2014년 6월부터 올해 5월 정책조정수석으로 이동하기 전까지 경제수석을 맡았다. 안 전 수석은 미르재단(2015년 10월)과 K스포츠재단(2016년 1월) 설립 전후로 대기업에 대한 자금 모집을 주도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경제수석실은 산하에 경제금융비서관을 비롯해 산업통상·해양수산·중소기업·국토교통·농축산식품 등 모두 7명의 비서관을 두고 있다. 이 중 재단 자금 모집에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한 곳은 경제금융비서관과 산업통상비서관이다. 정부와 청와대 사정에 밝은 한 고위관계자는 “경제수석실에서 조직적으로 자금 모집을 주도했다면 경제금융비서관과 산업통상비서관 말고는 통로가 없다”며 “물론 안 전 수석이 철저히 혼자서 움직였을 가능성도 있지만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하루에도 몇 번씩 수석과 대면하는 비서관들이 이를 모를 수는 없다”고 말했다. 당시 경제금융비서관은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 산업통상비서관은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었다. 자금 모집 의혹과 관련해 정만기 차관은 “일절 관여한 바가 없다. 안 전 수석이 당시 (기업들에) 전화를 돌렸는지는 비서관이 전혀 알 수 있는 위치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일이 불거질 당시 청와대 내에서 근무했지만 최근 사태와 관련해서는 비서관 차원에서 인지할 수준의 일이 아니라는 해명이다. 비서관 산하 행정관으로 있었던 인사들도 이번 사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경제금융비서관과 산업통상비서관실에는 각각 15명 안팎의 행정관이 소속돼 있다. 대부분 기재부와 금융위원회·산업부 소속 공무원들이다. 당시 청와대에 파견근무를 했다가 복귀한 한 경제부처 관계자는 “파견근무 당시 경제수석실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면서 “비서관이야 경제수석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지만 해당 부처의 특정 업무를 챙기는 행정관들은 주말도 없이 일에만 매진했다”며 “최순실씨는 물론 재단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조민규기자 세종=구경우·이태규기자 cmk25@sedaily.com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