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대선 D-3] "FBI는 트럼프랜드"

전현직 FBI 요원 "조직 내 反힐러리 정서 팽배"

WP 등 언론들은 "민주주의 해치는 행위" 비판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트럼프랜드(Trumpland)’다.”

전현직 FBI 공무원들은 영국 가디언이 3일(현지시간) 보도한 인터뷰에서 조직 내부의 분위기를 이같이 표현했다. ‘e메일 스캔들’ 재수사 방침 이후 FBI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후보를 밀어주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조직에 ‘반(反)클린턴’ 정서가 팽배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반면 FBI의 정치적 행보가 도를 넘었다는 목소리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가디언은 제임스 코미 FBI 국장이 e메일 스캔들 재수사를 결정한 것은 조직 내의 압박 때문이라고 전했다. FBI 관계자들은 지난 7월 코미 국장이 클린턴의 사설 e메일 서버 사용 의혹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린 후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후보에 대한 반감이 높아졌다며 최근 FBI에서 클린턴에게 불리한 자료들이 쏟아지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증언했다.

관련기사



지난달 28일 코미 국장이 e메일 스캔들 재수사 방침을 발표한 후 30일에는 FBI가 관리하는 한 트위터 계정에 트럼프의 선친인 프레드 트럼프를 박애주의자라고 찬양하는 글이 올라오며 대선 개입 논란이 더욱 확대됐다. 1일 같은 트위터에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비리 혐의에 몰린 마크 리치를 사면한 사건의 수사기록이 공개되기도 했다. 당시 세간에서는 리치가 2000년 힐러리 클린턴 당시 상원의원 선거캠프에 거액의 후원금을 제공했기 때문에 풀려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일에는 FBI가 잠잠한 듯했던 클린턴재단 혐의를 다시 캐기 시작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미국 언론들은 FBI의 정치적 행보를 강력히 비판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3일자 사설에서 “FBI가 특정 정파에 유리하게 행동하고 있다”며 “민주공화국을 어떻게 망가뜨릴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