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준 통계청장은 “소비자물가지수 중 월세 가중치는 30.8(총 1,000)인데 가계동향조사(지난해 기준)의 소비 지출액 등을 기초로 조사한 결과 40% 내외로 확대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현재 월세 가중치는 백분율로 환산하면 3.08%다. 40%가 올라갈 경우 4.31% 정도로 확대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으로 보면 농산물(4.41%), 전기·수도·가스(4.9%) 등과 비슷하고 축산물(2.22%)을 웃돌게 된다.
반면 상대적으로 전세 가중치는 줄어든다. 유 청장은 “월세가 늘면서 전세 사는 사람이 다소 줄어 가중치도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전세 가중치는 6.2%다. 월세 가중치가 확대되면서 체감물가와 지표 간 괴리도 다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개편안은 내년 1월 발표되는 소비자물가 통계부터 적용된다.
이날 유 청장은 “소비자물가지수 개편 주기도 현재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가중치는 끝자리가 0, 2, 5, 7인 연도를 기준으로 개편된다. 2010년·2012년 기준치가 개편됐고 2015년 기준안이 올해 말에 나온다. 480여개의 물가지수 구성 품목은 5년에 한 번씩 바꾸고 있다. 이를 단일화해 3년에 한 번씩 물가지수 전체를 개편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최근 편의점 매출이 급증하는 등 소비 패턴이 급변하는 가운데 지수 개편 주기가 짧아지면 체감물가와 지표 간 괴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달 개편되는 물가지수에는 보장성 보험료 등이 새로 포함된다. 유 청장은 “고령화로 국민들의 보험 가입률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유를 설명했다. 이외에도 도시락, 휴대폰 수리비, 파스타면, 블루베리, 파프리카, 아몬드 등이 추가된다. 반면 대부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예방접종, 휴대폰으로 대체된 종이사전 등은 제외된다.
유 청장은 체감물가와 물가지표 간 차이가 크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평균과 분산·소득의 문제여서 체감과 지표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물가지표는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품목을 다 포함해 산출한다. 일부 가격이 많이 오른 품목을 사는 사람은 체감물가는 높은데 물가지표는 낮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국민의 소득이 천차만별인 점도 괴리의 주된 원인이라고 유 청장은 지적했다.
유 청장은 “얼마 전 네덜란드 통계청장과 만났을 때 ‘물가·실업률·소득분배로 체감과 지표 간 차이가 크다고 항상 비판을 받는다’고 했더니 ‘우리도 마찬가지’라고 하더라”며 “한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도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유 청장은 “그래도 체감하는 것은 국민들이기 때문에 지표와의 괴리를 메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통계청 홈페이지의 ‘나의 물가 체험하기’에서 본인이 주로 쓰는 품목을 선택하면 자신만의 물가를 산출해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