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정현 "간교한 사람 분별못해 朴대통령 명예 다 잃어"

사퇴 또 거부한 이정현 '대통령=국정농단 피해자' 규정

별도 지도부 구성 검토 등 비박계는 집단행동 움직임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한광옥 대통령비서실장을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사진이 보인다. /연합뉴스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한광옥 대통령비서실장을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사진이 보인다. /연합뉴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7일 당 안팎에서 자신을 향해 쏟아지는 사퇴 요구에 다시 한 번 거부 의사를 드러냈다. 이정현 대표는 “지도부 사퇴보다는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당내에서조차 대통령 비호에만 급급한 듯한 이정현 대표의 태도에 비난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무성 전 대표를 좌장으로 한 비박계는 별도의 지도부 구성을 검토하는 등 집단행동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는 모습이다.


이정현 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간교한 사람을 분별하지 못해 대통령을 포함해 여러 사람이 평생 쌓아온 모든 명예와 업적과 수고를 다 잃었고 당은 폭탄 맞은 집이 됐다”며 “국정에 큰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가장 힘들고 어려움에 처해 있는 대통령을 도울 수 있도록 저에게 조금만 위기관리의 시간을 허락해달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위기 상황에서는 대결보다는 똘똘 뭉쳐서, 일단 합심해서 위기를 먼저 극복하자”며 “오래지 않아, 절대 머지않아, 이만하면 됐다 싶을 때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덧붙였다.


당내 비주류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사퇴 요구에 사실상 거부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이정현 대표는 또 “고립무원의 대통령이 이 난국의 무게에 짓눌려 힘들어하고 괴로워 신음하는데 나 혼자 마음 편하자고 유유히 곁을 떠나는 의리 없는 사람이 되기는 싫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대통령=국정농단 사태의 피해자’로 규정하는 듯한 이정현 대표의 발언을 놓고 당 안팎에서는 대표 사퇴 여부와는 별개로 이정현 대표가 여전히 상황의 엄중함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터져 나왔다.

이정현 대표가 이처럼 ‘마이웨이’를 고집하면서 당내 파열음도 점점 고조되고 있다.

당 지도부 가운데 유일한 비박계 최고위원이었던 강석호 의원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직 사퇴를 전격 선언했으며 계파 좌장인 김무성 전 대표는 대통령의 탈당까지 공개적으로 촉구하고 나섰다.

이와 함께 심재철·나경원·김용태·권성동·김세연 의원 등 비박계 중진 15명은 이날 오전 긴급 회동을 갖고 특단의 수습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별도의 지도부 구성까지 검토하기로 했다. 황영철 의원은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현 지도부를 더 이상 인정할 수 없다”며 “이번주 안에 당 지도부 사퇴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새로운 국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건강한 보수의 의견을 담아내는 지도 체제나 지도부를 만들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