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T 세계 첫 5G 표준규격 공개

"2019년까지 상용화... 시장선도 자신"

오성목(가운데) KT네트워큽문 부사장과 전홍범 KT 인프라 연구소장(전무·왼쪽), 서창석 KT 네트워크 전략본부장이 8일 서울 광화문 KT 스퀘어에서 KT의 5G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KT오성목(가운데) KT네트워큽문 부사장과 전홍범 KT 인프라 연구소장(전무·왼쪽), 서창석 KT 네트워크 전략본부장이 8일 서울 광화문 KT 스퀘어에서 KT의 5G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KT




KT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쓰일 5세대(5G) 통신 서비스의 표준 규격을 공개했다. 세계 최초로 5G 공통 규격을 만들고 ‘시범 운행’까지 성공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KT는 8일 서울 광화문 KT 스퀘어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홈페이지(http://www.kt.com/biz/kt5g_01.jsp)에 5G 표준 규격인 ‘KT 5G-SIG’ 문서를 공개했다. 5G-SIG는 KT가 에릭슨과 노키아, 삼성전자, 인텔, 퀄컴 등 글로벌 유수 통신 장비 및 칩 제조사와 지난 6월 공동으로 완성했으며, 복수의 기업이 참여해 만든 세계 최초의 5G 규격이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세계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 등 글로벌 표준단체의 5G 주요 요구사항과 핵심기술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KT는 최근 삼성전자와 세계 최초로 이 규격을 활용해 5G 데이터 통신(First Call)에 성공했고, 노키아와 5G 기지국 및 단말 연동 시험을 시작했다. 서창석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상무)은 이날 “국내 경쟁사에게도 협력의 문은 열려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KT는 평창에서 시범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이끈 뒤 5G 상용화를 기존 2020년에서 2019년으로 앞당길 방침이다. 오 부사장은 “KT 5G-SIG 규격이 국제기구의 요건을 대부분 갖추고 있어 충분히 조기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KT는 지난달부터 삼성전자와 노키아, 인텔과 함께 5G 네트워크에 ‘5G 가상화 코어망 검증’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범 서비스에 활용될 기지국과 단말, 통신망 장비 개발을 연내 마무리할 예정이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