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주형환 “철강·유화 선제적 사업 재편 불가피”…업계 구조조정 재촉

권오준 포스코 회장 “후반 1개 라인 가동 중단 검토”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 “업계, TPA 설비 일부 감축 추진”

주형환(오른쪽 두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여수광양 지역을 방문해 석유화학과 철강업계 대표과 간담회를 열고 선제적 구조조정을 당부하고 있다./사진=산업부주형환(오른쪽 두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여수광양 지역을 방문해 석유화학과 철강업계 대표과 간담회를 열고 선제적 구조조정을 당부하고 있다./사진=산업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철강과 석유화학업체들을 만나 공급과잉 품목 설비 감축과 고부가가치 분야 투자 확대를 요청했다.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9월 범정부 차원에서 내놓은 처방인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이행을 서두르라는 취지다.

산업부는 9일 주 장관이 ‘철강 및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로 여수·광양지역을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석유화학협회 회장) 등 철강·석유화학 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오전 열린 여수산단 석유화학업계 간담회에서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 ‘눌언민행(訥言敏行)’을 말하며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장관은 “공급과잉 품목들의 사업 재편은 기업의 사활이 걸린 문제로 선제적 추진이 불가피하다”면서 “업계의 자발적 사업 재편에 대해 정부는 기업활력제고특별법(기활법)을 활용해 금융, 세제, 절차 간소화 등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은 “롯데케미칼은 고부가제품 개발과 해외사업 확대, 공급과잉품목 사업재편 등에 2018년까지 총 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며 “TPA 생산하는 한 업체도 조만간 설비 일부를 감축을 위해 기활법 신청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주 장관은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가진 면담에서도 공급과잉품목 설비조정과 고부가 철강재, 경량소재 투자계획과 관련된 의견을 교환했다. 권 회장은 “후판 수요 급감에 대응해 고급 후판 비중을 확대하고 조선업과 비조선산업 수요를 보면서 후판 1개 라인 가동 중단을 검토 중”이라며 “미래차와 항공기 등의 핵심 소재인 타이타늄과 마그네슘 등 경량소재 연구개발(R&D) 및 설비 투자에 2021년까지 4,3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파리협정 비준 등 국제적 온실가스 규제 완화로 국내 이산화탄소 배출의 14%를 차지하는 철강업계의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민관 합동의 대책 마련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주 장관은 이에 대해 “내년부터 이산화탄소 획기적 저감이 가능한 수소환원제철공법 개발을 민관 합동으로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