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진웅섭,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비상대응계획 조치 단계적으로 이행”

진웅섭 금융감독원 원장은 9일 “지금과 같이 사회·경제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때에는 성(城)을 지키는 파수꾼의 자세로 위기상황에 대비해달라”고 전했다.


진 원장은 이날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미국 대선 관련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는 자리를 가졌다. 미국 대선결과가 시장의 예측과 다를 경우 주가 하락과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 국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

진 원장은 “국내·외 증시동향과 외국인 투자동향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주식시장 불안 정도에 따라 비상대응계획상의 조치를 단계적으로 이행해 달라”고 전했다.

현재 국내은행의 외화유동성은 양호하지만, 만일에 대비해 일별로 상황을 점검하고 상황이 악화될 경우 비상자금 조달계획을 가동해 선제적으로 외화유동성을 확보하도록 지도해달라고 전했다.


진 원장은 “우리 경제는 가계부채, 기업구조조정, 미국 금리인상, 중국경제 성장 둔화와 같은 다양한 대내외 리스크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미국 대선결과와 맞물려 시장불안을 증폭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리스크 요인별로 세밀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단기간 내에 한두 가지 정책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지속적이고 정교하게 관리할 것을 요청했다. 가계 대출 증가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상시감시를 강화하고, 2금융권으로의 풍선효과 여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달라고 말했다.

금리리스크에 대한 관리·점검도 강조했다. 미국의 금리인상, 일부 국가의 물가상승 압력, EU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로 장기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진 원장은 “장기금리 상승 시나리오별 금리리스크 규모와 자본적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금리리스크가 과도한 금융회사는 듀레이션 조정 등을 통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점검해 주기 바란다”고 전했다.

아울러 “시장불안이 지속되는 때에는 금융회사의 내부통제가 느슨해져 금융사고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 상시감시와 현장검사 과정에서 발견되는 금융회사 내부통제체계 상의 사소한 문제점은 즉시 개선토록 해달라”고 말했다.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