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7 수능] 정진갑 출제위원장·김영욱 검토위원장 일문일답

<수능> 영역·과목별 EBS 연계율, 문항수 기준 70% / 연합뉴스<수능> 영역·과목별 EBS 연계율, 문항수 기준 70% / 연합뉴스


[2017 수능] 정진갑 출제위원장·김영욱 검토위원장 일문일답

■출제 난이도는 어떻게 잡았나


-기본적으로 적정 난이도의 일관성 유지가 대단히 중요하다. 올해 출제에서 가장 신경을 썼던 부분이 이 부분이다. 6·9월 모의평가 수준과 유사하게 본 수능도 출제했다.

■내년 절대평가 전환 앞둔 영어영역의 변별력은

-내년에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것은 올해는 고려하지 않고 기존 교육과정에 맞춰 출제했다. 쉬운 수준으로 하되 약간의 변별력을 두기 위해 약간 어려운 지문을 넣었다.

■영역별·과목별 최고 난이도는 어느 정도인가


-과목마다 문항 개수가 다른 만큼 최고 난도 문제가 어느 정도인지는 일괄적으로 말할 수 없다. 최대 목표는 표준점수로 변환했을 때 차이가 없도록 하는 것이었다. 특히 탐구영역이나 제2외국어 영역은 선택 과목에 따라 유·불리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최대한 피하도록 노력했다.

관련기사



■만점자 비율은 어느 정도로 고려했나.

-만점자 비율은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그동안 만점자 비율 1%가 ‘금과옥조’처럼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오류 없는 문항이 우선이고 난이도 분포에 신경을 쓰고 있다. 만점자 비율 목표는 이번 출제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문항 오류를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출제장에서 1차 검토 본이 나오면 검토단이 학생 눈으로 시험을 보고 여러 의견을 피드백한다. 피드백 과정에서 많이 걸러내고 최종적으로 문항점검위원회가 열린다. 과목마다 위원회를 개최해 출제진과 검토단이 모인 자리에서 공식 토론도 했다.

■6월 모의평가 때 문제 유출 사고가 있었다. 문제 유출 대비 어떻게 했나

-모의평가는 출제를 완료하고 나서 시행까지 시간 격차가 좀 있다. 그 사이에 문제가 유출된 건데 본 수능은 출제위원단이 아직도 출제본부에 격리된 채 있다. 출제위원장과 검토위원장만 지금 나와 있고 보안요원도 함께 있다. 본부에 있는 분들이 밖으로 나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 출제본부 입·퇴소 때도 USB 메모리 등을 숨겼나 검색했고 외부 보안도 더욱 강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 출제·검토진 등 본부에 들어간 사람들이 불편할 정도로 철저히 했다. 모의평가와 본 수능의 출제진 퇴소 시간에는 아주 차이가 나는 만큼 본 수능에서는 문제 유출이 없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