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민관합동 대미 통상협의회 출범…트럼프發 무역 불확실성 대응

정부·민간·연구기관 참여 1차 회의

보호무역 확산·수입규제 강화 대비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3일 서울 삼성동 무역협회에서 ‘대미통상협의회’를 열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산업부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3일 서울 삼성동 무역협회에서 ‘대미통상협의회’를 열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산업부


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무역 장벽을 높이는 공약을 내건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대응하기 위한 민관 공동 협의체를 발족시켰다. 미국의 보호무역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우리 산업과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기 위한 취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삼성동 무역협회에서 경제단체와 주요 업종별 협회, 무역 지원기관, 통상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대미 통상협의회’를 출범하고 1차 회의를 열었다.


협의회는 주형환 산업부 장관과 김인호 무역협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대한상공회의소와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 업종별 협회·단체장, 코트라·무역보험공사·수출입은행장, 민관 연구기관장이 참여한다.

관련기사



주 장관은 재협상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보이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한미 FTA 이후 우리의 대미 투자가 2배 이상 늘고 미국 현지에서 1만명 이상의 고급 일자리를 창출했다”며 “정부는 이런 사실과 근거에 따라 한미 FTA에 대한 미국 측 오해를 불식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보호무역조치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겠다”며 “인프라 투자, 에너지 개발 등 미국 신정부의 역점 분야에서 새로운 경제협력 기회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미국 신정부는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맞춰 우리도 무역제재나 환율문제에 현명하게 대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무역협회도 “내년 1월 20일 미국 신정부 출범을 전후한 시기가 미국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며 “현지 인사와 네트워크 강화, 무역 투자 사절단 파견 등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