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자부품연구원, 골다공증 진단용 고감도 바이오센서 개발





전자부품연구원이 24일 골다공증 진단이 가능한 고감도 바이오센서(사진)를 개발했다.

성균관대와 함께 개발한 이 센서는 골다공증 검출 지표인 부갑상선 호르몬을 정량화해 검출하는 방식으로 골다공증을 진단한다. 이황화몰리브덴과 그래핀 기술로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을 활용해 기존에 검출이 어렵던 영역대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센서는 나노 복합체를 이용해 센서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높였고 광학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통합 회로설계로 구조를 단순화시켜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공정을 자동화할 수도 있어 검사 단가도 낮출 수 있다. 검출 시간도 20분 이내로 단축 시켰다.

관련기사



이 센서를 활용한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를 획득했으며 현재 진단카트리지는 2등급 식약처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이 기술을 개발한 이민호 전자부품연구원 휴먼케어시스템연구센터 책임은 “개발한 바이오센서 플랫폼이 높은 신뢰성과 양산성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다”며 “사업화 역량이 높은 국내 기업을 발굴해 해외 기업이 선점해 있는 바이오센서 시장 진출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