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수통서 사이버 전문가까지 '특검 드림팀' 뜬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과 박근혜 대통령 비위 의혹을 파헤칠 박영수(64·사법연수원 10기) 특별검사가 본격적인 수사 착수를 앞두고 인력 구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 특검은 ‘특수통’에서 사이버 범죄 전문가까지 다양한 인적 구성으로 최적의 특검팀을 꾸려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파헤친다는 계획이다.


특검팀은 100명을 훌쩍 넘는 역대 최대 인력의 ‘슈퍼 특검팀’으로 꾸려지는 만큼 다양한 수사 경험을 지닌 검사들로 이른바 ‘드림팀’으로 구성된다.

관련기사



4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 특검은 청와대의 특검보 임명을 앞두고 법무부에 검사 10명에 대한 1차 파견을 요청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파견 요청 명단에 특수통은 물론 사이버 범죄 전문 검사까지 다양한 인물들의 이름이 올려져 있다는 것이다. 한동훈(43·〃27기) 검찰 부패범죄 특별수사단 2팀장을 비롯해 양석조(44·〃29기) 대검 사이버수사과장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서울중앙지검 방위사업수사부에서 지난 10월 대검 감찰본부 산하 특별감찰단으로 자리를 옮긴 이명신(48·〃29기) 부장검사도 이름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한 팀장은 평검사 때부터 대기업 수사에 참여해 기업 수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3년 ‘최태원 SK 회장 주식 부당거래 사건’을 맡아 최 회장을 구속했다. 2006년에는 대검 중수부에서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도 수사했다. 양 과장은 2015년 대검 디지털수사과 과장을 거쳐 현재 사이버수사과 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이 부장검사는 판사에서 검사로 전관한 인물이다.

박 특검은 “청와대는 물론 법무부에서도 아직 연락을 받지 못했다”며 “청와대에 추천한 8명의 특검보 후보는 물론 파견을 요청한 10명의 검사에 관해서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파견 요청 검사를 뽑는 기준은 사명감과 수사 능력”이라며 “10명 이외에 나머지 검사에 대한 파견 요청도 될 수 있으면 이번주 중반까지 완료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철저하고 신속한 사건 실체 규명이 요구되는 만큼 준비 기간 20일을 모두 쓰지 않더라고 진용이 갖춰지는 대로 수사에 본격 착수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특히 대면조사를 원칙으로 박 대통령 수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최적 조합의 슈퍼 특검팀으로 미르·K스포츠재단 강제 모금을 비롯해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까지 폭넓게 수사해 각종 의혹을 규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안현덕·김흥록기자 always@sedaily.com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