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현대건설 '스마트시티' 시동…지자체 입찰 추진

전담팀 꾸려 이통사와 협력

일각선 "시기상조" 회의적

현대건설이 건설사 중에서는 처음으로 ‘스마트시티’ 테스크 포스팀(TF)를 조직하고 본격적인 사업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성과를 내기 쉽지 않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X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최근 스마트시티 전담팀을 구성하고 향후 지자체 스마트시티사업 입찰까지 준비하고 있다.

앞서 현대건설은 SK텔레콤과의 가전 IoT(사물인터넷) 기술협력을 통해 스마트 홈을 신규단지에 적용 시켜왔다. 최근에는 네이버와 MOU를 체결해 음성인식을 통한 가구 내 기기 제어 및 콘텐츠 검색 등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나아가 계열사인 현대카드·현대기아차 등의 연계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기술을 스마트시티 사업과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전담팀이 현재 검토하고 있는 것은 특정 지역 도로·수도·전기 등 사회기반시설 등을 연결하는 사업이다. SK텔레콤이 보유한 IoT전용망 로라(LoRa)를 활용해 스마트시티 구현에 필수적인 각종 센서와 무선망 운영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를테면 가로등에 카메라와 GPS, 각종 센서를 적용하면 로라 망을 통해 중앙 관제가 가능해지고, 지하 전기·수도관에서도 파손 위치나 집중호우시 유수량을 감지해 사회안전망으로 활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건설업계에서는 건설사 중심의 스마트시티 사업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다. 실제로 건설업계는 스마트시티 사업의 적극적인 진출을 망설여왔다. 지난 2005년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U씨티(유비쿼터스씨티)’ 프로젝트가 흐지부지된 것도 단적인 예다. 아울러 스마트시티 사업이 이동통신사 중심으로 추진돼 건설사 입장에서는 마땅한 사업모델이나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기존 스마트홈 이용율도 미미할 만큼 수요가 적고 이동통신·네트워크업계 중심의 사업이라 수익성 확보도 어렵다”며 “공동주택을 플랫폼으로 한 서비스사업에 관심은 많지만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통신·기술 표준이 확정되지 않은 데다 오래된 규제가 많다”며 “보안(방범)과 에너지 절감 쪽 외에는 수요가 없고 건설사 입장에서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