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최순실 게이트發 삼성바이오 의혹 진실은…



최순실씨 국정농단의 불똥이 바이오 업계로 튀는 가운데 삼성바이오 사업의 고속성장 배경을 놓고 뒷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송도부지 무상 제공이나 박근혜 대통령의 기공식 참석, 적자상장이 삼성의 미르재단·K스포츠재단 출연, 최씨의 딸 정유라씨 지원 등을 통해 받은 대가성 특혜가 아니냐는 것이다. 삼성은 이 같은 ‘검은 커넥션’ 의혹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삼성바이오를 둘러싼 세 가지 특혜 논란을 알아본다.

송도부지, 박근혜 정부 특혜?


이건희 회장이 사업 밑그림

무상임대는 송영길 시장때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공장 부지. /사진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공장 부지. /사진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일각에서는 삼성 그룹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중심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하기 위해 바이오 부문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현 정부의 특혜가 집중됐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삼성은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의 합병 비율이 적절했다는 근거 가운데 하나로 사실상 지주회사 역할을 할 삼성물산의 핵심사업인 바이오 부문의 성장성을 꼽았다.

하지만 삼성이 바이오 사업에 본격 진출한 시기는 현 정부 이전이다. 삼성은 2010년 그룹 차원에서 바이오를 5대 신수종사업으로 선정했고 2011년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이미 이건희 회장 때 밑그림을 그린 셈이다. 특혜논란이 가장 큰 삼성바이오로직스 50년 부지 무상임대의 경우 이명박 정부 때의 일이다. 특히 당시 인천광역시 시장은 민주당 출신인 송영길 의원으로 삼성은 외국인투자기업(외국인 지분 10% 이상)으로 분류돼 혜택을 받았다.

당시 송도 부지는 황무지에 가까워 입주하려는 기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삼성이 2011년 5월 공장을 착공할 때만 해도 주변에 다니는 버스가 없어 직원들이 퇴근 시간만 되면 발을 동동 굴렀다는 것이 내부 관계자들의 말이다. 결국 인천광역시에 수차례 건의한 끝에 2년 만에 지선 92번을 유치했다.

물론 최소 보유기간인 5년이 되자마자 외국인 주주였던 퀸타일즈가 지분을 매각한 것은 문제가 크다는 비판도 많다. 하지만 제도상 허점과 특혜는 구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현대백화점도 무상임대와 관련한 논란이 일었고 한 업체는 가짜 외국인투자가를 내세웠다가 적발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현재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최소 외국인 지분율을 30%로 높이는 개정작업을 벌이고 있다.

VIP 기공식 참석도 최순실 입김?

“기업 투자 독려 위한 맥락”

LG·하이닉스 등에도 참석




지난해 12월 박 대통령이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기공식에 참석한 것도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삼성 고위관계자는 이에 대해 “그전부터 대통령이 기업 투자를 독려하기 위해 주요 행사에는 직접 참석했다”며 “이것도 같은 맥락 아니겠느냐”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실제 박 대통령은 기업 행사에 자주 모습을 드러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논외로 하더라도 2014년 LG그룹의 마곡산업단지 LG사이언스파크 기공식을 비롯해 2015년 삼성전자 평택단지 기공식, SK하이닉스 M14반도체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 올 들어서도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을 방문했고 도레이첨단소재 구미공장 기공식에 참석했다.



적자상장은 삼성만?

“韓증시 활성화 위해 요청”

거래소, 외부압력說 일축



일각에서는 선진국은 영업이익은 상장의 기본 요건이라며 삼성바이오 상장 과정에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미국 나스닥 상장이 무산된 상황에서 국내 주식시장 상장이 꼭 필요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힘’을 썼다는 내용이다.

한국거래소의 설명은 다르다. 당시 실무를 담당했던 김성태 한국거래소 부장은 “지난해 6월인가 에피스가 나스닥에 상장한다는 언론보도를 보고 우리의 (경직된) 상장 기준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됐다”며 “국내 증시 활성화를 위해 수차례 삼성을 찾아가 거래소 상장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당시 삼성은 적자인 상태로도 미국 나스닥과 코스닥 상장이 가능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도 적자기업을 받아준다. 업계의 관계자는 “상장 첫날 3.5%였던 로직스의 외국인 지분 비율이 현재 11.2%까지 올라간 것만 봐도 사업성에 큰 문제가 없다는 방증”이라며 “최씨 관련 의혹은 철저히 밝히되 사실관계도 명확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