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출연硏, 행정업무 선진화로 연구몰입도 높인다

출연연 과학기술 행정 선진화 컨퍼런스 총괄위원회는 7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출연(연) 과학기술 행정 선진화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정부 R&D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과도한 행정업무로 본연의 연구에 집중하기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해 2015년부터 출연연 행정효율화 작업을 지원해 왔다.


이번 컨퍼런스는 크게 패러럴 세션과 메인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패러럴 세션에서는 출연연 행정효율화 성과분과, 출연연 우수사례 분과, 정책공유 학술분과로 구분해 각 분과별 우수사례 및 논문을 발표한다.

메인 세션에서는 행정효율화 추진위원장이었던 문길주 UST 총장이 기조연설을 통해 출연(연) 행정 선진화를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각 분과별 최우수사례을 듣고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2년 가까이 진행돼 온 출연연 행정효율화는 이전과 달리 출연연 스스로 문제점을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찾는 방식으로 추진돼 왔다.

‘연구비 집행 증빙 전산화’, ‘산·연 협력연구 협약 가이드라인’, ‘출연연 공동 채용 정보시스템’, ‘일반용품 공동 구매’ 등 28개의 출연연 공통 현안을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도출, 연구현장에 적용 중이다.


특히 ‘연구비 집행 증빙 전산화’의 경우 연구자들이 불편을 호소해 온 연구비 증빙절차를 간소화 한 대표사례로 꼽힌다.

관련기사



이전까지는 카드 사용 후 발급된 영수증을 스캔해 지출시스템에 입력하는 수작업 방식이 통용됐으며, 영수증을 분실할 경우 재발급하여 입력하는 등 총 7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했다.

행정업무경감 분과에서는 카드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지출시스템에 입력돼 2단계로 마무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현재 12개 출연연이 활용중이며 2018년까지 총 24 곳에 도입할 계획이다.

출연연 행정효율화는 공통 현안을 발굴하고 집행하는 과정이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리지만, 출연연 스스로 문제를 찾아 해결방안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연구현장에서의 수용성이 높고 효과도 크다.

임기철 위원장은 “이번 컨퍼런스는 출연연 스스로 변화할 수 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며 “출연연이 자발적 혁신을 이룰 수 있는 열정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aily.com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