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도심 멧돼지 출현 해마다 증가

올해 전년대비 50% 이상 신고 건수 증가

은평 종로 강북구에서 주로 출몰

종로 소방서 직원들이 북한산 인근에 출현한 멧돼지를 제압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소방재난본부종로 소방서 직원들이 북한산 인근에 출현한 멧돼지를 제압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서울 도심에 멧돼지 출현 빈도가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멧돼지 번식기이자 먹이 활동이 왕성해지는 9∼11월에 출현 횟수가 집중됐다.

7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6년 11월까지 멧돼지 출현으로 인한 119구조출동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1년 이후 해마다 빈도가 꾸준히 늘어났다. 올해 11월까지 출동 건수는 지난 2011년에 비해 무려 12배나 증가했다. 전년과 비교해도 50% 이상 출동 건수가 많았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 43건, 2012년 56건, 2013년 135건, 2014년 185건, 2015년 364건, 2016년(11월까지) 548건으로, 월평균 약18.5회 출동한 셈이다.


주로 가을·겨울철 출동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월별 출동 건수는 10월이 244건으로 가장 많았고, 11월 203건, 9월 186건 순이었다. 이 시기는 멧돼지 먹이 활동이 가장 활발해지는 때이자, 시민들의 야외활동도 많아지는 때라 신고·출동 건수도 집중됐다.

관련기사



멧돼지 출현으로 인한 119출동 건수가 가장 많았던 자치구는 종로구(405건)였다. 이어 은평구(290건), 성북구(147건), 도봉구(139건), 서대문(120건), 강북구(118건) 순이었다.

멧돼지는 주로 등산로와 같은 산에서 가장 많이 출몰했고, 이 밖에도 아파트·주택·도로·공원 등지에서 나타났다.

소방재난본부는 “인간을 제외하고 도심지 근처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가 없어 멧돼지 개체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겨울철을 앞두고 먹이가 부족해져 도심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잦아지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만약 멧돼지와 직접 마주쳤을 때는 뛰거나 소리치면 외려 놀라 공격할 수 있으므로 멧돼지 눈을 똑바로 쳐다 보면서 시야에서 천천히 벗어나 가까운 나무, 바위 등으로 우선 몸을 피하는 게 좋다. 멧돼지를 일정 거리 떨어져 발견했을 때는 조용히 뒷걸음질해 안전한 장소로 몸을 피하고, 돌을 던지거나 손을 흔들어 주의를 끄는 행동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도봉소방서 직원들이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를 제압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소방재난본부도봉소방서 직원들이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를 제압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