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년부터 대학 융합전공·유연학기제 도입한다

교육부, 4차 산업혁명 대비 대학 학사제도 개편





내년 1학기부터 대학 내 다수의 학과가 협력하거나 대학과 대학이 손잡고 새로운 전공을 개설하는 융합(공유)전공제가 도입된다. 이와 함께 학생이 소속학과 전공 이외의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전공선택제도 시행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길러내려는 조치다.


교육부는 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대학 학사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이르면 내년 1학기부터 대학 현장에 도입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융합전공제는 여러 학과가 융합해 전공을 개설하고 학생은 원래 소속된 학과의 전공 대신 융합전공만 이수해도 졸업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학교 내 학과끼리는 물론 대학과 대학 간에도 가능하다. 기계공학과와 항공공학과, 컴퓨터공학과 등이 ‘무인항공시스템(UAS)’이라는 융합전공을 개설하면 기계공학과 학생이 UAS 전공학점만 이수해도 졸업할 수 있다. 전공선택제는 학생의 소속학과(학부) 전공필수이수 의무를 아예 폐지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학생이 입학할 때 학과(학부)의 전공과 연계전공, 학생설계전공, 융합전공 가운데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대학이 1개 학기를 4·8·15주, 주말·야간 등 자율적으로 구성해 1년 동안 최대 5학기를 운영할 수 있는 유연학기제도 마련됐다. 다만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1학점당 15시간 수업 기준은 엄격히 적용할 방침이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