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탄핵표결 '운명의 날']"표결후 혼란 최소화 위해 여야 모두 결과 수용해야"

野 가결됐는데 하야 주장땐

"대선 전략" 비판 직면할것

친박, 표결찬성수 상관없이

이정현대표체제 해체해야

전문가들은 탄핵 표결 이후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여야 모두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탄핵안이 가결됐는데도 야권에서 ‘즉각 하야’를 곧바로 주장하면 역풍이 불어닥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최 교수는 “탄핵안 통과 이후 야권에서 즉각 퇴진을 이야기한다면 대선 전략에 매몰돼 있다는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도 새누리당 비주류는 8일 탄핵 가결 이후 헌법재판소의 결론을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탄핵을 추진하는 주체들, 탄핵 표결 이후 집권을 꿈꾸는 정치 주체들은 어떤 경우에도 헌법적 절차를 존중하고 결과에 무조건 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일부 야권 정치 지도자가 탄핵 가결 이후 대통령 즉각 사임을 주장하는데 반헌법적인 주장이라고 생각하고 성숙한 정치문화를 위해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도 의원총회에서 “의결 결과가 가결이 되든 부결이 되든 여야는 그 결과에 겸허히 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벌써부터 헌법재판소가 탄핵 절차에 돌입하더라도 즉각 하야 투쟁에 나서겠다고 공언하고 있다”며 “탄핵 표결은 국정 혼란의 매듭이 돼야지 또 다른 혼란의 시작이 돼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김형준 명지대 정치학과 교수는 “20대 국회 개원 당시 여야가 약속했던 협치를 이제 구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탄핵 표결 이후 여야 협치를 이루기 위해서는 새누리당 친박근혜계가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새누리당이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고 이정현 대표 체제는 표결 찬성 숫자와 상관없이 깨끗하게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