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234표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되면서 새누리당 내에서 친박근혜계의 입지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됐다. 마지막 순간까지 탄핵안 부결을 설득했던 이정현 대표는 오는 21일 이전에라도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탄핵 찬성파 중심으로 ‘분당 후 새로운 교섭단체 구성’ 시나리오도 힘을 얻고 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9일 본회의가 끝난 직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통령 탄핵이 통과된 마당에 당대표인 저와 정진석 원내대표 둘은 전적으로 이 부분을 책임지고 물러나야 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며 “당이 공백을 갖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만 마련하고 오는 21일 이전에도 물러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비주류의 즉시 사퇴 주장에 ‘12월 21일 퇴임’으로 맞받아쳤던 이 대표가 사퇴 시한을 앞당긴 것이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서도 “탄핵의 사유가 되는 부분들이 객관적이고 명확히 입증된 자료나 사실이 없다는 것을 잘 알 것”이라며 부결을 설득했다.
탄핵을 추진했던 비주류 의원들은 인적 청산과 재창당 수준의 개편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황영철 의원은 당 쇄신을 위해 가장 먼저 무엇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새집을 짓기 위해선 허물어야 된다”며 “빨리 허물도록 머문 사람들이 집을 비우고 새롭고 참신한 사람들이 새집을 짓도록 그리고 국민께 그 집을 돌려드리도록 노력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철우 의원도 “친박이 (탄핵안 통과 이후에도) 살아있다고 하면 어불성설 아니겠나”라며 비주류 중심의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다만 비주류의 주장대로 당내에서의 개혁이 친박계와의 권력투쟁으로 인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분당 수순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특히 비상시국회의뿐만 아니라 탄핵 찬성표를 던진 친박계 일부까지 집단 탈당을 하게 되면 국회 내 새로운 교섭 단체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년 1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귀국과 제3지대와의 연대 등 변수가 합해져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계 개편 속도가 더욱 빨라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