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제조업 취업자 5개월째 감소… 청년실업률 13년만에 최고

두달째 10만명대 줄어… 고용률 20대만 뒷걸음질

11월 전체 취업자 증가폭… 3개월만에 30만명대 회복

조선업을 비롯한 산업계 구조조정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가 두달 연속 10만명대의 감소세를 보였다.

취업자 수 감소로 20대 고용률이 9개월만에 하락했고 청년실업률도 같은 달 기준으로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에 달했다.


전체 취업자 수는 농림어업과 건설업 부문의 고용 호조에 힘입어 3개월 만에 30만명대로 올라섰다.

관련기사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11월 취업자는 2,659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33만9,000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메르스 기저효과가 나타난 8월에 38만7,000명 늘어났다가 9월 26만7,000명으로 떨어진 이후 두 달째 20만명대에 머물렀지만 이번에 다시 30만명대로 확대됐다. 하지만 조선업 경기 둔화와 구조조정, 수출부진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10만2,000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7월 49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든 이후 5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20대가 취업자 수가 1만 6,000명 줄면서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1년 전보다 고용률이 떨어졌다. 20대 고용률 감소는 지난 2월 0.2%포인트 하락한 이후 9개월만이다. 청년층 실업률은 제조업 부진,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신규채용 위축 등으로 1년 전보다 0.1%p 상승한 8.2%를 기록했다. 같은 달 기준으로 보면 2003년 11월(8.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정부는 미국 금리 인상 등 대외 불확실성, 구조조정 영향, 경제심리 위축 우려 등 하방위험이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연내 재정집행 목표를 달성하고 예산사업 집행을 사전에 준비하는 등 경기·고용 위험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