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경제위기때마다 국정공백 발생…내년 위기 발생 가능성 크다”

한경硏 세미나…오정근 “은행위기 대비해 외화유동성 확보 시급”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국정 공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위기 예방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은행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외화유동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오정근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은 15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한경연 주최로 열린 ‘1997년·2008년 금융위기의 경험과 2017년 위기예방을 위한 정책방향’ 세미나에서 ‘금융위기 10년 주기설’을 거론하며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어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을 계기로 내년에 신흥시장 국가들에 다시 금융위기가 찾아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오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도 1997년과 2008년에 이어 다시 위기국면에 진입하고 있는데 두 번의 외환위기가 발생한 배경을 보면 국정공백 등 정치적 요인이 위기를 증폭시켰다”며 “최근 국정공백 사태로 외환위기가 재연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1997년 외환위기 발발 전에는 김영삼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씨의 한보그룹 대출 관련 의혹으로 국정공백이 발생해 당시 추진 중이던 노동·금융개혁이 무산됐고, 이로 인해 기업 부실과 금융 부실이 크게 증가하고 외국인 자금이 유출돼 그해 말 외환위기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또 2008년 외환위기 전에는 2007년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로 세계경제가 둔화되는 가운데 2008년 4월부터 석 달간 광우병 촛불집회가 지속돼 당시 이명박정부의 국정 동력이 급격히 약화됐고, 그해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외국인 자금이 급격히 유출돼 외화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오 연구위원은 “지난 10월부터 불거진 최순실 사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국정공백이 심화되면서 부실기업 구조조정, 노동개혁 등 구조개혁이 뒷전으로 밀렸고 미국 새 행정부 등장에 대비하지 못했다”며 위기 예방책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라 국내에서도 금리가 상승할 경우 한계기업의 부실이 증가하고 1,3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로 인한 부실위험가구도 급증하는 등 은행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외화유동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외환위기 직면 시 필요한 외환보유액은 4,473억달러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지난 11월말 기준 3,720억달러로 753억달러가량 부족하다고 오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그는 “위기 발생 시 내국인의 자본유출과 한국기업 해외현지법인의 현지금융까지 고려할 경우 최소 1,000억달러에서 최대 1,500억달러가량의 외환보유액을 추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정명기자 vicsjm@sedaily.com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