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한·중 관광산업 상호의존 높아…'사드 보복' 중국에도 자충수

'2016 한국관광의 해' 폐막 맞춰

한·중 관광장관 베이징서 회동

'공동 관리감독 협력강화' MOU

양국 새 관광질서 확립에 초점

일각선 "한국, 저자세 버려야"

조윤선(오른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5일 중국 베이징 케리호텔에서 리진자오 중국 국가여유국장에게 ‘화합은 귀하다’라는 뜻의 ‘和爲貴(화위귀)’가 적힌 초당 이무호 선생의 작품을 선물하고 있다. /사진제공=문체부조윤선(오른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5일 중국 베이징 케리호텔에서 리진자오 중국 국가여유국장에게 ‘화합은 귀하다’라는 뜻의 ‘和爲貴(화위귀)’가 적힌 초당 이무호 선생의 작품을 선물하고 있다. /사진제공=문체부




한국과 중국은 한중 수교 25주년인 2017년 새로운 관광교류 질서를 만들 수 있을까. 한중 관광산업은 상호의존도가 어느 나라보다 높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은 중국에 자충수가 될 듯하다. 일단 양국 정부는 사드 등의 쟁점에도 불구하고 구동존이(求同存異)의 관점에서 서로 공감 가능한 부분부터 교류를 늘려나간다는 데 합의했다. 우선 저가덤핑 관광상품 해소라는 공통된 관심사에서부터 발전해 관광산업 발전, 교류확대로 연결해간다는 목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5일 ‘2016년 한국 관광의 해’ 폐막식 참석차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조윤선 문체부 장관과 리진자오 중국 국가여유국 국장(장관)의 회담에서 이 같은 교감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최근 사드 논란에서 시작된 한중 간 불편한 상태에서 중국의 장관급 문화·관광 인사가 국내 관계자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 장관은 “한국 관광산업의 경우 내년은 본격적으로 질적 성장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중국인 관광객(유커) 대상으로 맞춤형 프리미엄 상품의 마케팅 강화와 개별관광객 유치 활성화, 지역 관광콘텐츠 개발 등을 적극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윤선(오른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리진자오 중국 국가여유국장이 15일 중국 베이징 케리호텔에서 ‘한중 관광시장 공동 관리감독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문체부조윤선(오른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리진자오 중국 국가여유국장이 15일 중국 베이징 케리호텔에서 ‘한중 관광시장 공동 관리감독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문체부


ㅇㄹㄴㅇㄹㄴㅇㄹ


문체부에 따르면 양국 장관은 이날 관광시장 질서 확립을 위한 ‘한중 관광시장 공동관리감독 협력 강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이를 토대로 특히 방한 유커 대상의 저가 단체관광 근절을 위한 공동 노력을 본격화해나가기로 했다.


기대가 컸지만 실망도 컸던 ‘2016 한국관광의 해’는 이번 폐막식을 대미로 공식 마감했다. 양국 관광의 해는 지난 2014년 7월 방한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합의에 따라 진행됐다. 상호교류를 늘려나가기 위해 2015년은 ‘중국 관광의 해’, 올해는 ‘한국 관광의 해’로 정했다.

관련기사



올해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 이후 기류가 급변했다. 심지어 중국 측 관광장관인 리 국장은 당초 이번 행사 참가에도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시 주석의 합의 사항에 대해 마냥 거부하기는 힘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는 우선 저가덤핑상품 근절을 비롯한 관광시장 질서 확립에 초점이 맞췄고 막판에 장관 회담이 성사됐다.

업계는 사드를 빌미 삼은 한국 관광·문화 산업에 대한 보복과 반감은 중국에도 자충수일 수밖에 없다고 본다. 한국 관광시장이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만 거꾸로 중국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2014년 418만명이었던 방중 한국인 관광객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에도 불구하고 2015년 444만명으로 6.3% 증가했다. 올해도 10% 내외가 늘어나며 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들어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관광산업에 주목한 중국으로서는 한국인이 중요한 고객이다.

방한 유커도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4년 613만명이었던 유커는 2015년 598만명으로 줄었지만 올해는 8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올 들어 1~11월에는 754만명에 달했다. 지난 2년간의 누적 증가율은 방중 한국인이 20%, 방한 중국인이 30% 내외다. 한국은 중국이, 중국은 한국이 관광객 국가별 부동의 1위다.

한국과 중국이 서로 ‘윈윈’할 수 있도록 정부 및 관광업계 간 협력이 복원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한국의 사드 배치를 이유로 유커를 무기로 한 보복을 가하는 것은 양국 관광산업 발전에 절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양국 관광시장은 서로가 절실히 필요한 만큼 한국도 중국에 대한 지나친 저자세를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5년 11월1일 국회에서 열린 ‘2015 중국 관광의 해’ 폐막식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가 바라보는 가운데 정의화 당시 국회의장이 축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회지난 2015년 11월1일 국회에서 열린 ‘2015 중국 관광의 해’ 폐막식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가 바라보는 가운데 정의화 당시 국회의장이 축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회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