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외교부 "나토 북핵 규탄성명 큰 의미…대북압박 공조외교 이어갈 것"

외교부 "나토 이사회 별도 개최해 성명 발표는 처음"

"북핵 공조 외교의 구체적 성과물"

나토 "북한 핵·미사일 도발 강력 규탄"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 브리핑룸에서 북한 안보리 결의 채택 관련 브리핑하는 모습이다./연합뉴스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 브리핑룸에서 북한 안보리 결의 채택 관련 브리핑하는 모습이다./연합뉴스




외교부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15일(현지시간) 북핵 규탄 성명을 채택한 데 대해 “나토의 조치가 큰 의미를 가진다”고 16일 환영의 뜻을 밝혔다.


나토가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북대서양이사회(NAC) 차원의 특별회의를 열고 북핵 문제만 다룬 건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부는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나토는 그간 북한의 도발에 대해 사무총장 및 북대서양이사회 명의의 성명을 발표해 왔으나 북핵 문제 논의만을 위한 북대서양이사회를 별도로 개최하고 대북성명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데 이번 나토의 조치가 큰 의미를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나토가 특별회의를 개최하고 대북성명을 통해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발신한 것은 그간 정부가 전략적 로드맵 하에서 전개해온 북핵 공조 외교의 구체적 성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윤병세 장관은 앞서 지난 10월 NAC 특별연설 등 북핵 문제에 대해 나토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외교부는 또 “정부는 국제사회가 계속해서 단합되고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도록 유엔뿐 아니라 나토,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등 주요 다자안보기구에서도 전방위적 대북 압박 외교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나토는 북핵 규탄 성명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개발 지속 및 도발적이고 위협적인 언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차원의 새 대북제재 결의 2321호 채택과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독자 대북제재 검토에 대해서도 환영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와 함께 북한에 도발 자제와 안보리 결의 상의 의무 이행, NPT 복귀 및 IAEA의 포괄적 핵안전조치협정 준수, 6자회담 9·19 공동성명 이행, 핵무기 및 현존하는 핵·미사일 프로그램 폐기,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대화 등을 촉구했다.

이번 특별회의에는 미국과 유럽 등 28개 나토 회원국 대표와 나토가 초청한 한국·호주·일본·뉴질랜드 대표가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안총기 외교부 제2차관이 참석했다.

정부 대표로 참석한 안 차관은 “북한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핵 능력을 진전시키고 있다”며 “주민들의 복지는 무시한 채 대량파괴무기(WMD) 개발에만 광적으로 집착하고 있는 비정상적 체제에 대해선 비상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최근 안보리가 채택한 대북 제재결의 2321호 이행과 함께 추가적인 독자제재가 필요하다며 “새로운 독자제재와 함께 안보리 결의가 효력을 나타내면 북한은 핵 야욕을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