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다음 등 포털사들의 ‘실시간 검색어’(실검) 순위 조작 우려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요청시 특정 키워드를 삭제 또는 제외할 수 있어 여론 검열 등에 악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검증위원회는 지난 19일 보고서를 발간하고 네이버가 올해 1∼5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총 1,408건(하루 평균 약 9개)을 임의로 제외했다고 밝혔다.
포털사들은 KISO 규정에 근거해 특정 키워드를 제외하거나 삭제하고 있다. △개인정보 △명예훼손 △성인·음란성 △불법·범죄·반사회성 △서비스품질 저해 △법령이나 행정·사법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 △검색어가 상업적 혹은 의도적으로 악용되는 경우 등에서 문제가 있을 때 실시간·연관검색어와 자동완성어를 조정한다.
네이버는 실검 조작 우려가 일던 2012년부터 검색어 운영 현황 외부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검색어를 임의 조정하지 않는 것을 서비스 운영 원칙으로 하지만, 기술적으로 완전하지 않아 외부 기준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검색어 노출을 제외하고 있다”며 “이는 네이버 뿐만 아니라 다음도 마찬가지이며, 노출 제외 검색어에 대한 검증 보고서를 외부에도 공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털은 KISO 기준을 충족할 경우에 한해 키워드를 제외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행정·사법기관의 입김에 따라 여론 검열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단체가 이미지 세탁을 위해 연관 검색어 제외를 요청할 수 있다. KISO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월말 건국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발생한 성희롱·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네이버가 학교 측 요청을 받고 해당 키워드를 검색어에서 배제한 사례가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다음 운영사) 관계자는 “행정·사법기관이 키워드 제외를 요구할 때는 법령에 근거해야 한다”며 “법령에 근거하지 않고 행정·사법기관 요구에 따라 키워드를 조정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김지영·김창영기자 kc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