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뒤통수 맞은' 이스라엘 총리, 美대사 초치

'결의안 기권' 강력 항의…외무부는 찬성 10개국 대사 호출

국제사회로부터 팔레스타인 자치령 내 정착촌 건설을 중단하라는 일격을 맞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례적으로 자국 주재 미국 대사를 초치해 강력 반발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거부권 대신 기권을 행사해 결의안 통과의 길을 연 미국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 대한 강력한 항의의 표시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는 성탄절인 이날 밤 자신의 사무실로 대니얼 샤피로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를 소환했다. 지난 23일 열린 유엔 안보리에서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을 비판하는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 결의안이 36년 만에 처음으로 통과한 데 대한 항의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 외무부도 안보리 결의안에 찬성한 14개국 중 외교관계가 이어진 10개국의 대사들을 호출했다. 이스라엘 외교당국자는 WSJ에 “이런 행동들은 평화를 가로막을 뿐 촉진하지 못한다는 것이 우리의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스라엘 정부는 이번 결의안 통과가 향후 경제제재 등 국제사회의 압박조치로 이어질 가능성을 경계해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결의안 통과를 막지 못한 네타냐후 총리를 겨냥해 극우정당 베이테누 등 우파 연정 파트너를 포함한 이스라엘 내부의 비판이 고조될 수 있다는 상황에도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네타냐후 행정부는 내년 1월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으로부터는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어 국제사회가 이스라엘에 대한 실효적 제재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결의안 통과 뒤 이틀 연속 트위터를 통해 이스라엘을 향한 지지 목소리를 냈다.

그는 “유엔에서 이스라엘의 상실로 평화를 논의하기 더 어려워졌다”며 “매우 나쁜 상황이지만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