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역사교과서 운명 오늘 결정된다

교육부, 현장 적용 방안 발표…1년 유예 유력

중고교 국정 역사교과서의 운명이 27일 결정된다.


교육부는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국민담화 형태로 국정 역사교과서의 현장 적용 방안을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관련기사



현재로서는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을 1년 유예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하다. ‘최순실 국정농단’에 따른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반대여론이 높아 애초 계획대로 내년부터 도입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1년 유예’는 국정 역사교과서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다른 과목들처럼 오는 2018년부터 사용하고 당장 내년에는 기존 검정 교과서를 쓰는 방법이다. 교육부 장관 고시만으로 가능한데다 교육현장 반발을 고려하면서도 완전폐기는 아니므로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한편 교육부가 지난달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을 공개한 후 별도 웹사이트를 개설해 지난 23일까지 의견을 수렴한 결과 웹사이트 방문자는 총 7만6,949명, 교과서 열람횟수는 14만6,851건, 접수된 의견은 3,807건(제출자 2,334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의견 중에서는 교과서 내용 관련 의견이 1,630건으로 가장 많았고 오·탈자 관련 67건, 이미지 관련 31건, 비문 지적 13건이었다. 나머지 2,066건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찬반 등 기타의견으로 분류됐으며 60% 이상이 반대의견을 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