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박영수 특별검사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자택과 집무실 등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특검이 동시 다발적인 압수수색·소환조사로 인사청탁, 제3자 뇌물수수 등의 수사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이른바 현 정권 실세들에 대한 강제 수사를 통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한가운데 서 있는 박근혜 대통령을 한층 압박하고 있다.
특검팀은 김 전 비서실장 자택을 비롯해 문체부 내 ‘문화융성’ 정책 주요 부서인 기획조정실·예술정책국·콘텐츠정책국, 조 장관 집무실 등 10여곳을 26일 압수수색했다. 이날 압수수색 명단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문 이사장과 김진수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의 자택도 포함됐다. 특검은 이곳에 수사관 등을 보내 업무 기록, 각종 서류 등을 확보했다. 김 전 비서실장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에 대한 증거확보 차원에서, 문 이사장은 직권남용 혐의에 따라 압수수색에 나섰다는 게 특검 측의 설명이다. 또 특검은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영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이날 불러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당시 의사결정이 이뤄진 배경은 물론 복지부나 청와대 등의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캐물었다.
특검이 각종 의혹을 한꺼번에 들여다보는 이른바 ‘다(多) 트랙’ 수사에서 우선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김 전 비서실장이 인사 전횡을 했는지 여부다. 김 전 비서실장은 2014년 10월께 당시 김희범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에게 “1급 실·국장 6명으로부터 일괄 사표를 받으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인사 지시가 ‘비선실세’ 최순실씨가 실소유한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전에 있던 터라 김 전 비서실장이 일부러 문체부에 인사 압력을 가한 게 아닌지 의혹이 일었다. 두 재단 설립에 앞서 주무부처인 문체부를 압박했다는 이른바 ‘길들이기 설’이다. 김 전 비서실장은 이 같은 혐의에 따라 검찰 수사 단계에서 입건돼 현재 출국이 금지된 상태다.
또 특검은 김종 전 문체부 2차관이 김 전 비서실장에게 “문체부 고위 간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도록 힘써달라”고 인사청탁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함께 들여다볼 방침이다. 김 전 비서실장이 박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청와대 2인자로 꼽혔다는 점에서 최씨의 국정농단 사태를 묵인이나 방조했는지 등 직무유기 혐의도 수사 대상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문화예술단체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으로 김 전 비서실장 등을 고발한 데 따라 특검은 그를 비롯한 문체부 관계자를 조만간 불러 사실관계 등을 파악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통령의 제3자 뇌물수수 혐의도 특검이 수사에 광폭 행보를 보이면서 주목하고 있는 대목이다. 문 이사장, 김 비서관 등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홍 전 본부장을 소환 조사하는 등 국민연금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 의혹 수사에도 힘을 싣고 있다. 두 회사 간 합병 과정에 대가성이 있는지가 박 대통령의 제3자 뇌물수수 혐의를 입증할 핵심 연결고리이기 때문이다. 특검은 대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기부금액(204억원)을 미르·K스포츠재단에 내고 최순실씨 모녀가 100% 지분을 보유한 회사 ‘비덱스포츠’에 280만유로(약 35억원)의 특혜 지원을 한 대가로 삼성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의 핵심인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을 이끌어낸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이들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27일 문 이사장과 최근 사의를 표명한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을 소환해 조사한다. 또 직권남용·강요 등 혐의로 기소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도 함께 불러 조사한다. /안현덕·진동영기자 alway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