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내각' 수월히 출발할까…국무·법무·재무·국방 등 인준 난항예고

틸러슨·세션스·므누신·매티스 등

청문회 앞둔 주요 장관들 경력·자산 문제돼

야당 물론 여당 내서도 반발 목소리 포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AF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내년 1월 20일 취임과 동시에 내각이 가동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트럼프 초대 내각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Goldman), 군 장성(Generals), 억만장자 초갑부(Gazillionaires·가릴리어네어즈) 등 이른바 3G인사들이 포진해있어 각료 인준 청문회에서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렉스 틸러슨(국무), 제프 세션스(법무), 스티븐 므누신(재무), 제임스 매티스(국방) 등 4명의 장관 지명자 청문회가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내각서 가장 중요한 포스트인 틸러슨 국무장관 지명자는 친 러시아 인사라는 점이 걸림돌이다. 6년부터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는 그는 미국내 대표적인 친러 인사로, 2012년 러시아 정부훈장인 ‘우정훈장’(Order of Friends)을 수상하기도 했다. 국무장관이 특정국가와 개인적, 재무적으로 밀접히 관련된 것 자체가 문제라는 인식 속에 특히 상대국이 러시아라는 점이 문제시되고 있다.


WP는 특히 친푸틴 노선에 반감을 갖는 공화당의 마코 루비오, 제프 플레이크, 랜드 폴 상원의원 등이 그의 인준에 반기를 들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들은 국무장관 인준 청문회를 진행하는 외교위원회 소속이기 때문에 만약 한 명이라도 반대표를 던진다면 틸러슨 지명자는 상임위 단계에서부터 좌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법무장관 지명자인 세션스는 과거 인종차별 언행으로 연방판사 인준이 거부된 적이 있다는 점이 아킬레스건이다. 그는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때인 1986년 연방 지방법원 판사로 지명됐으나, 상원 법사위 청문회에서 동료들의 인종차별 증언이 잇따르면서 인준이 거부됐다. 당시 그의 연방판사직 인준 거부는 50년 만의 두 번째 사례로 기록됐다.

므누신 재무장관 지명자는 공직 경험이 전무한 대표적인 월스트리트 인사다. 민주당인 야당은 “월스트리트에 유리하게 경제정책을 운용할 것”이라고 집중포화를 퍼붓고 있다. 골프만삭스 투자은행 출신인 그는 2008년 ‘모기지 사태’ 당시 주택담보대출업체 인디맥을 인수해, 무차별적인 차압, 서류 위조, 인종차별 대출 등으로 원성을 샀다. 그는 2014년 이 회사를 되팔아 18억 달러(약 2조3,000억 원)의 차익을 냈다. 엘리자베스 워런(민주), 버니 샌더스(무소속) 상원의원 등이 월가를 대표하는 갑부 인사인 그를 낙마의 표적으로 삼고 있다.

매티스 국방장관 후보는 지명 당시 공화당뿐 아니라 민주당으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국방장관의 경우 ‘전역 후 7년이 지나야 장관에 오를 수 있다’는 인사 규정의 예외를 상·하원에서 적용받아야 한다는 점이 변수로 꼽힌다. 커스틴 길리브랜드(민주) 상원의원 등 일부가 “민간의 군 통솔은 미국 민주주의의 근본 원리”라며 그에 대한 예외 적용에 반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트럼프 당선인 측과 각료 지명자 캠프는 내년 초부터 진행될 인준 청문회를 앞두고 공보 인력을 대폭 보강하는 등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가 전했다. 폴리티코는 “공화당 공보 베테랑과 정책 전문가들이 투입되고 있다”며 “그들의 임무는 초갑부, 장성, 거액 기부자,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지명자들이 워싱턴 경험이 전무함에도 불구하고 연방 정부를 이끌 전문지식이 있다는 것을 확신시키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